• Title/Summary/Keyword: 용출수

Search Result 1,26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Potential and Future Directions of Effect Assessment of Polluted Sediment Using Sediment Elutriates: Effects on Growth and Molecular Biomarkers on Marine Copepod (퇴적물 용출수를 이용한 오염 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 가능성과 방향: 요각류 유생의 성장 및 분자생체지표의 활용)

  • Won, Eun Ji;Gang, Yehui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3
    • /
    • pp.207-216
    • /
    • 2017
  • Several bioassays have been performed for assessment of the impact of polluted sediments. The direct exposure method using sediments is limited by difficulty controlling feeding and its effects on organisms. Furthermore, only macro-organisms and benthic organisms a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sediment elutriate as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act assessment, copepods, small organisms with a short life cycle, were exposed to sediment elutriates, and several end-points were measured. As a result, sediment elutriates prepared from polluted sites caused growth retardation in marine copepods. In terms of molecular biomarkers, antioxidant-related and chaperone protein gene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Thus, we suggest that sediment elutriate tests can provid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oxicity assessment using whole sediment sampl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obtain sufficient data for future applications.

A Study on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Distribution Area using Landsat-7 ETM+ images around Jeju island (Landsat-7 ETM+ 영상을 이용한 제주 주변 해역의 해저 용출수 분포 지역 추정 연구)

  • Park, Jae-Moon;Kim, Dae-Hyun;Yang, Sung-Kee;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7
    • /
    • pp.811-81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ct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distribution ima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using infrared band of Landsat-7 ETM+ around Jeju island. It is used to analyze SST distribution that DN value of satellite images converted into temperature. The estimation of SGD location is that extracting range of $15{\sim}17^{\circ}C$ from SST. The summer season images(July 28. 2006, Aug. 29. 2006 and Sep. 19. 2008) were used to analyze big difference between SST and temperature of SGD. The results, estimated SGD locations were occurred part of coastal area in northeastern of Jeju island.

Study on Sediments' Release for Water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의 수질 특성에 따른 퇴적물의 용출 영향 연구)

  • Lee, Jin Kyung;Choi, Sun Hwa;Lee, Seung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99-499
    • /
    • 2016
  • 본 연구는 오염된 농업용 저수지에 대하여 수층에 따른 수질 변화 특성을 조사하고, 저수지 저부의 퇴적물에 대한 용출 실험을 통해 수층별 수질 특성이 퇴적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 저수지의 선정은 설치년도 1960년대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였으며, 주요 오염원을 축산계와 생활계 오염원으로 분류하여 각 다른 특성을 가진 저수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내부 오염 부하량이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용출량 실험 결과, 호기 조건에서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의 T-P가 미미하게 용출이 일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생활계,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에서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에 혐기 조건의 경우에는 생활계오염원 보다는 축산계오염원 저수지에서, 1960년대 이후 설치된 저수지에서 보다는 1960년대 이전에 설치된 저수지에서 용출이 크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혐기 조건에서 T-N의 경우 생활계오염원과 1960년대 이후 설치된 저수지에서는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 외의 항목에서는 모두 용출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혐기조건에서는 모든 연구대상 저수지에서 T-P의 용출이 크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부영양화의 주요 영향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저수지 저부의 혐기조건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연구 저수지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가뭄의 영향으로 수위가 평년에 비해 상당히 낮았으며, 저수량의 부족으로 저수지 주변의 바닥이 드러나거나 유출이 없는 등의 특징을 보였다. 수심이 낮은 5~7월의 조사 시기에는 표층의 DO 농도가 높음에도 저층부의 DO 농도는 1.2~2.2 mg/L를 나타내 약혐기조건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측정기(HYDROLAB_Quanta)를 이용한 DO측정시, 저층부 퇴적물의 재부유를 막기 위해 저층경계면에서 30~50cm 윗부분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저층부 바닥면의 DO 농도가 더 낮을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이 시기에 퇴적층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용출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으며, 이후 8~11월에 수계 내 환란 및 순환에 의해 오염물질이 수중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퇴적되어 있던 오염물질이 계속적으로 용출 및 순환을 해마다 반복한다면 해당 저수지는 장기간 수질 오염 저수지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오염부하가 크다고 판단되는 저수지에 대하여 오염퇴적물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Effect Analysis of Alternatives to Secure Instream Flow in the Anyangcheon Using HSPF (HSPF를 이용한 안양천의 유지유량 확보 방안에 대한 효과 분석)

  • Lee, Kil-Seong;Lee, Joon-Seok;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40-1844
    • /
    • 2006
  • 현재 안양천 유역에서는 하천 유지유량 확보 및 건천화 방지를 위해 지하철 용출수,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재이용수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유역에 적용이 가능하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분석과 처리 대안의 효과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후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유지유량 확보 방안에 대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에 대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 AGWRC, DEEPFR, INFILT, LZSN, UZSN, IRC, INTFW, LZETP 순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이 중 유출에 1% 이상 변화를 주는 매개변수 AGWRC, DEEPFR, INFILT, LZSN, UZSN, IRC를 모형의 보정 및 검증에 사용하였다. HSPF 모형을 이용하여 2004년 안양천 유역을 모의한 결과 갈수량 기준 시 안양천 중류 유량의 82%가 안양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수처리 재이용수와 지하철 용출수는 각각 4.6%와 1.3%의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안양천 유역과 같은 건천화가 진행되고 있는 도시하천의 경우 지하철 용출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하천 유지유량 확보 방안은 물순환 건전화의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about Leakage Waters of Antifouling Paints on Sebastes shlegeli and Artemia (방오도료 용출수의 조피볼락과 알테미아에 대한 급성독성 평가)

  • Kim, Pil-Geun;Park, Maeng-Eon;Lee, In-Won;Chun, Ho-Hwan;Park,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4
    • /
    • pp.361-367
    • /
    • 2010
  • The use of antifouling(AF) paints is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from the development of marine fouling organisms. The ban on harmful substances in antifouling paint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new antifouling strategies although Tributyitin (TBT) compound had been used extensively as an active ingredient Alternatives should be as effective as conventional paints but have lower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a TBT-free self-polishing (Cu SPC) AF paint containing $Cu_2O$, a Cu free SPC AF paint, and a Foul-release silicone AF paint, which were commercially availabl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erects of leakage waters employing Sebastes shlegeli and Artemia. Survival rate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leakage waters from AF paints and the acute toxicity of SPC AF pai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oul release AF paints.

Evaluation of Lead, Copper, Cadmium, and Mercury Species in the Leachate of Steel Making Slag by Seawater (해수에 의한 제강 슬래그의 납, 구리, 카드뮴 및 수은 화합물의 용출특성 평가)

  • Lee, Han-Kook;Lee, Do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
    • /
    • pp.75-8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lead, copper, cadmium, and mercury from steel making slag by seawater. To demonstrate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rom steel making slag by seawater, it was carried to various leaching tests such as regular leaching tests, liquid/sold(LS) leaching test and pH static test. From the leachability of $Pb^{+2},\;Cu^{+2},\;and\;Cd^{+2}$ from steel making slag in pH static test, it is distinguished between distilled water and seawater. With distilled water, it is very low between pH 7-8 and pH 11-12. On the other hands, with the seawater, its leaching is high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In particular, concentration of $Hg^{+2}$ leached from slag by seawater is low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Meanwhile, we found that the heavy metals from steel making slag would be dissolved and precipitated using geochemcial equilibrium program such as visual minteq. Lead and copper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with seawater were dissolved nearly in the range of pH 11-12, but in the range of pH 7-10 those were precipitated about 90%. And cadmium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with seawater were dissolved completely. On pH static test with distilled water, lead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seemed to be similar to pH static test with seawater. However, copper and cadmium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were dissolved. In general, the species of lead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were formed mainly of $PbCl^+,\;PbSO_4$, the species of copper were formed mainly of $CuSO_4,\;CuCO_3$, the species of cadmium were formed mainly of $CdCl^+,\;CdSO_4$ due to being sorbed with the anions($Cl^-,\;CO_3^{-2},\;SO_4^{-2}$) of the seawater. Both pH static test with seawater and distilled water, it is not in the case of the mercury. Most of mercury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was precipitated(SI=0). Because the decreasing of $Hg^{+2}$ concentrations depends ferociously on the variation of chloride($Cl^-$) existed in the seawater. $Hg^{+2}$ leached from steel making slag could be sorbed strongly with chloride($Cl^-$) compared of carbonate($CO_3^{-2}$) and sulfate($SO_4^{-2}$) in the seawater. On the basis of that result, we found that the species of mercury was formed of calomel($Hg_2Cl_2$) as one of finite solid. Due to forming a calomel($Hg_2Cl_2$) in the seawater, the stability of mercury species by steel making slag should be higher than those of lead, copper, and cadmium species. Regarding the results stated above, we postulated that the steel making slag could be recycled to sea aggregates due to being distinguishing leachability of heavy metals($Pb^{+2},\;Cu^{+2},\;Cd^{+2},\;and\;Hg^{+2}$) between leaching tests by distilled water and seawater.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오염 연구와 pH변화가 중금속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 이인경;이평구;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5-388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총중금속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함량분석과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폐광석이 산성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중금속의 지화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산도를 변화시키면서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전함량분석과 용출실험을 종합한 결과, 중금속 및 미량원소의 용출거동 특성을 크게 As-Co-Fe 형태와 Cu-Mn-Cd-Zn형태와 Pb로 구분할 수 있었다. As-Co-Fe의 용출특성은 약산성의 환경에서는 용출이 미약하나, 최종 pH 1.5이하의 강산성환경에서는 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Cu-Mn-Cd-Zn형태에서는 최초로 용해되는 pH가 5.0-3.0으로 As-Co-Fe 보다 다소 높았다. Pb는 다른 형태에 비해 상당히 적게 용출되었다 최종 용출된 함량과 관계없이 초기 용출이 발생하는 pH값을 기준으로 한 각 원소의 상대적인 이동성은 Mn =Zn>Cd=Cu>>Fe=Co>As>Pb 순서이며, 산성비는 Zn, Mn 및 Cu를 쉽게 용출시켜 이동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Function Beverage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e(I)- Analysis of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Castanea crenata Tea Extract- (밤소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밤속껍질차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 함량 분석-)

  • 전병관;이종률;지준명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3 no.3
    • /
    • pp.226-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밤차로부터 용출한 차액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을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의 차액과 비교분석함을써 밤차의 기능성 건강음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녹차의 차액에는glucose와 galactose약 20:1 정도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따른 당류의 변화는 적다. 2. 밤차의 차액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등이 약 100:1:10의 비율로 존재하여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의한 변화는 적다. 특히 mannoxe는 천연에서 유리상태로존재하기 어려운 희귀한 유리당이다. 3. 결명자차 차액에서는 당류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결명자차의 amino산 함량은 현미녹착나 밤속껍질차의 아미노산 함량에 의해 1.6~1/7에 지나지 않았다.4. 현미녹차의 차액 중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methionine, alanine 등의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밤차의 차액 중에 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aspartic acid, proline, val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alanine, asparagine, proline등은 현미녹차에 비하여 함유량이 많으며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glutamine 등은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아미노산의 요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6. 현미녹차는 카페인을 126~162 mg/L 정도로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밤차나 결명자차는 함유하지 않았다.

  • PD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ste Tire for Use as Soil Reinforcement (지반보강재로서 폐타이어 사용에 따른 환경영향 분석)

  • Cho, Jinwoo;Lee, Y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
    • /
    • pp.61-6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result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ste tire. Experimental program includes a set of laboratory leaching tests and field pilot test for leachate analysis.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illustrate how properties such as TOC, pH, turbidity and Zn change with tire sizes and drain conditions. In field pilot test,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orm a drainage system installed below the tire-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analyzed for chemical quality. Laboratory leaching tests performed on various particle sizes of waste tire indicated that as tire size i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leachate is decreased. In continuous flow column tests, the concentration of leachate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exposure periods or pore volumes flushed through the waste tire. However, during pause flow column tests, the concentration of leachates were increased with time. Field monitoring of effluent indicated that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ground water quality had occurred over a period of 12 months.

Estimation of reservoir temperatures and subsurface environments for $CO_2-rich$ springs in Kangwon Province (강원도 지역 탄산용출수에 대한 심부온도 및 심부환경의 추정)

  • 최현수;고용권;윤성택;배대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0-523
    • /
    • 2003
  • 강원도 지역의 대표적인 탄산용출수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심부 지열 저장지의 온도와 심부환경을 추정하였다. 탄산용출수는 공통적으로 약산성의 pH와 높은 이온함량으로 특징되지만, 화학적으로는 Na-HCO$_3$형, Ca-Na-HCO$_3$형, 그리고 Ca-HCO$_3$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심부에서 생성된 탄산용출수가 지표로 상승하는 도중에 수반된 지표수 혼합차이로 인해 이런 화학조성의 차이가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Na-HCO$_3$형 탄산수는 화학 조성상 ‘mature water’의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두 유형의 탄산수들은 ‘immature water’에 해당하였다. Na-HCO$_3$ 형 탄산수에 대하여 실리카, Na-K 및 Na-K-Ca 지온계를 적용한 결과, 약 l15-157도의 심부저장지 온도가 산출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성분 평형계를 이용한 추정 온도 (약 140-160도)와도 잘 일치하였다. 반면, Ca-HCO$_3$ 형 탄산수들은 지표수와의 혼합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고 넓은 범위의 추정 온도 (약 60-130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탄산용출수의 심부저장지 온도는 Na-HCO$_3$형에 대해서만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약 140-160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