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한 관점

Various Perspectives to Read the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 Hong Hyung-Ock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2005.10.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ous perspectives to read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for foreigners. This study were designed to adapt original theory for exploring the unique housing perspectives without using strict basic assumption which were already developed in the area of sociology, history, anthropology and philosophy. Research method applied was literature review. Each perspective might give useful insight to read the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on the way of change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in Korea. Adapted perspectives to housing history were critical theory perspective, microsociological perspective, everyday life perspective(phenomenology tradition, symbolic interaction tradition, Marxist tradition), discourse perspectiv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conflict theory perspective, and life course perspective. Conclusively, each perspective must be adapted multi-supportively to read the housing phenomena, because housing change derived from complex causes and factors. The fruit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e adaptable viewpoint to housing were useful to read the micro-history of housing chang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택(1994a). 일상생활이론의 비교연구: 사회학적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주제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8, 85-118
  2. 강수택(1994b).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 의한 일상생활론 연구-미드와 고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0, 417-448
  3. 강수택(1997). 일상생활의 개념과 일상생활론의 역사. 사회과학연구, 15, 115-130
  4. 강수택(1998a). 일상생활의 페러다임. 서울:민음사
  5. 강수택(1998b). 근대적 일상생활의 구조와 변화. 한국사회학, 제32집, 가을호 503-529
  6. 김명자(2002). 교환 및 자원이론. 한국가족관계학회 편.가족학이론(pp.65-111). 서울: 교문사
  7. 김양희(2002). 사회갈등이론. 한국가족관계학회 편. 가족학이론(pp.113-161). 서울: 교문사
  8. 김종길(2002). 거대이론의 위기와 일상성의 재발견: 현상학적 행위이론의 비판적 검토. 사회과학연구, 7, 67-92
  9. 김진명(1992). 의례 및 일상생활을 통해 본 가부장적 담론과 권력-호남 삼리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혜경(1999). 가사노동담론과 한국 근현대가족: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5(1), 154-182
  11. 나종석 외 역, 알프 귀트케 외 저/(2002). 일상사란 무엇인가. 서울:청년사
  12. 박영신 편저(1989). 갈등의 사회학. 서울:까치
  13. 박용옥(2001).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서울: 지식산업사
  14. 백승종 . 장현숙 편역, 위르겐 슐룸봄 저/(2003). 미시사의 즐거움. 서울: 돌베개
  15. 손세관(2004). 한국주거사를 바라보는 시각. 한국주거학회 2004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1-10
  16. 앙리 르페브르(1990). 현대세계의 일상성. 서울: 주류일념
  17. 유계숙 . 최연실 . 성미애 편역(1999). 가족학 이론. 서울:문음사
  18. 윤택림(199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19. 이규숙구술 . 김연옥 편집(1978). 이 '계동 마님'이 먹은 여든살, 뿌리 깊은 나무 민중자서전 4. 반가며느리 이규숙의 한평생. 서울: 뿌리깊은 나무
  20. 이진우 역(1996).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서울: 문예출판사
  21. 일상문화연구회 편(2004). 일상문화 읽기. 자기성찰의 사회학 3. 서울: 나남출판
  22. 임현진 정일준 역, Beck, Giddens & Lash 원저.(1998). 성찰적근대화. 서울: 도서출판 한울
  23. 정근식(2000). 한국의 근대적 시간체제의 형성과 일상생활의 변화 I-대한제국기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58, 161-197
  24. 조병은(1991). 가족학 연구와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한국가족학연구회 편. 가족학연구의 이론적 접근-미시이론을 중심으로(pp.59-83). 서울: 교문사
  25. 주경철 역, 페르낭 브로델 저(1995).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I-1, 2, 일상생활의 구조 상, 하. 서울: 까치
  26. 최현정(1997). 미시사의 방법론과 그 가능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2001). 근대화전략과 새마을 운동. 서울: 백산서당
  28. 홍형옥(1992). 한국 住居史. 대우학술총서 66. 서울:민음사
  29. 홍형옥(2000). 건강한 삶의 질 모색을 위한 과제. 김우창 외. 21세기 환경과 도시, 135-162. 서울: 민음사
  30. 홍형옥 . 이경희 . 최정신 . 김대년 . 조재순 . 권오정(2004).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까. 미래인력연구총서 36. 가족연구 시리즈7. 서울:지식마당
  31. 홍형옥 . 오혜경 . 주서령(2005). 주거의 의미와 사용.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32. Boschetti, M. A.(1990). Reflection on home: implications for housing does elderly persons. Housing & Society, 17(3), 57-65
  33. Morris, E. &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Y.: John Wiley and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