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매체산업의 계급론적 이해

Class Analysis of the Media Industry

  • Kim, Seung-Soo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11.14

초록

이 글은 매체산업의 계급론을 복권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국사회가 계급적 질서에 따라 구성된 만큼 매체산업도 계급적 이해관계를 반영할 것인지를 입증하기 위해 매체 소유 집중, 경영과 편집권 지배, 내용 통제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매체산업은 재벌기업, 종교자본, 외국자본, 정보 통신자본 등 여러 형태의 자본이 매체산업에 진출하여 구조를 변동시키고 있다. 거대 자본에 의한 산업 지배는 언론의 독립적 기반을 위협하며, 매체 생산물도 자본의 압박에 따라 더 보수화, 상업화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면 매체는 계급간, 계층간 설득과 타협의 장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매체는 거대한 자본을 중심으로 집중되고, 지배 블록을 단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매체산업과 연관된 자본이나 정치 세력은 한 몸이 되어 국가 권력과 여론을 좌우한다. 그 정점에는 삼성그룹이 있다는 점을 이 연구에서 밝혔다.

The research focused on the return of class analysis of the media soctor. It is told that class is a determining factor of media industry. This article is divided in to four sections that represent class analysis of media. In this study, I claimed that class analysis is necessary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edia industrial capital and its nature. With their domination of the media, big corporations seek to control political power and information. This article has demonstrated that the media power of corporations should be curv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