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and correspondence of schedule risk management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of curtain-wall

커튼월 공사의 착공 전 단계에서 공정 리스크 규명 및 대응방안

  • 정태식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창덕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As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extremely enormous, complex and special, risk factors have been increased consistentl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and cope with the uncertain risk factors in such building constructions for successful project accomplish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practical affairs directly and show detail alternatives of risk factors by extracting the risk factors throughout construction process of curtain wall that is largely influenced on cost, quality, schedule ,safety and following activity. Also, extracting these risk factors make it possible to analyze quantitative risk and decide the priority raking of risk factors. Especially, this research is aimed to provide efficient management of scheduling risk that can make the risk minimize to practical workers who have different degre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the construction cite when the risk brings out suddenly.

건설 프로젝트가 점차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되어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리스크 요인과 불확실성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건설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것은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공종 중 공기, 공사비, 민원발생 등으로 인해 공사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후속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 커튼월 공사를 시공 프로세스 검토를 통한 리스크 인자의 적출을 통해 구체적인 리스크 인자의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실무에 직접적으로 접근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리스크 인자의 적출은 정량적인 리스크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공종에서 발생하는 리스크 인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공정 리스크 관리 도구를 통하여 현장마다 경험과 지식의 정도가 다른 실무자로 하여금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리스크를 인지할 수 있으며 리스크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그러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업무 지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외 2인 (2002), 건설공사단계별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현황 분석
  2. 김인호 (2001), 건설사업의 리스크관리-건설사업의 위험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전략적 접근방법, 기문당
  3. 삼성건설 (2001), 토요다 생산방식과 린건설의 이해
  4. 서석원 외 2인 (2002), 건설공사의 최적 리스크 대응방안 선 정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8 권 제8호
  5. 윤철성 외 1인 (2003), 국내 건설공사 클레임 사례를 기준한 위험요인 및 대응전략 도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제9호
  6. 윤여완 외 1인 (2001), 건축공법별 리스크 인지를 위한 체크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7 권 제4호
  7. 조훈희 외 2인 (2001), 공기연장 실태조사를 통한 발주자 중 심 공기지연 리스크 대응방안 -공공발주 공동주택을 대상으 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7권 제12호
  8. 주해금 외 1인 (2003),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 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4 권 제2호
  9. 한종관 외 2인 (2003),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제 3호
  10. 홍성욱 외 2인 (2003), 국내 건설기업의 리스크 관리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5호
  11. 황지선 외 1인 (2003), 초기 건설공사의 리스크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1 호
  12. B. Mulholland and J. Chritian (1999),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schedul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8-15
  13.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PDRI: 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for Building Projects ,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pp.1-61, 1996
  14. Gllen Ballard (1999), Lean Construction (CE290M) Course Not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y, 1999
  15. Howell(1999). Greory A,Howell, 'What is Lean Construction -1999', Proceeding IGLC-7,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USA, 26-28 July 1999
  16. J. Neil (1989), Management of project risks and uncertainty,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University of Texas
  17. koskela, Lauri L. Koskela, 'Application of the New Production Philosophy to Construction,' Technical Report No.72, CIFE(Cecter For Integrated Facility Engineering), Stanford University, CA, 1992
  18. T. Miyagawa and J. Kunz (1993), Construction planning and manageability prediction, CIFE, Stanfo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No. 87
  19. Tetsuya Miyagawa (1997), Construction manageability planning - A system for manageability analysis in construction plann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pp.175-191
  20. Thomas,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21. Tommelein, I.D., Riley, D., and Howell, G.A. (1998). Parade Game : Impact of Work Flow Variability on Succeeding Trade Performance. Proc. 6th Annual Conf. of the Intl. Group for Lean Constr., IGLC-6, 13-15 August held in Guaruja, Brazil, 14 99
  22. Tommelein, I.D., Riley, D. and Howell, G.A. (1998). Parade Game : Impact of Work Flow Variability on Trade Performance. ASCE, J. of Constr. Engrg. and Mgmt., Spt./Oct. Issue
  23. V.E. Sanvido (1984), A framework for designing and analyzing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project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tamfo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No. 282
  24. Womack and Jones, 'Lean Thinking : Banish Waste and Create Wealth in Your Corporation', Simon & Schuster, New York, NY, 1996
  25. Aleshin, A. and Dworatschek, S.(1997),Risk Management of Joint Venture Construction Projects of Foreign Cooperation in Russia, PMI 28th Annual Seminars & Symposium pp.221-226
  26. Jaafari, A(1994), Total Project Risk Management Aided by Information System, 12th INTERNET World Congress on Project Management, Proceedings Vol.2, pp.331-317
  27. Moothanah, D.P(1997), A Holistic Framework for Managing Risk in Construction Projects, PMI 28th Annual Seminars & Symposium pp. 1056-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