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Improvement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s for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건축공학 전산정보화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accelerating its speed while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regarding to those technology is hardly catching up. Students graduated from schools are hav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into the technology and as a result the industry is operating its own educational problem for the newcomers. This research develops the educational program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school and therefore enhance the adaptability of the students for the industry. The program is open from 2002 up to 2004 liking two courses and including 10 modules and a project. The educational program consists of computer labs and lectures or seminars. The result of the educational program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ed in the industry, an to improve the interest and skills of those, and additionally to motivate themselves into participating the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한국건설산업의 전산화, 정보화가 가속되어가는 현재 학교 교육에서는 그에 따른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도 산업체 취업 후 요구되는 전산, 정보화 기술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고, 산업체에서도 그들을 위한 별도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형편이다. 아울러 기존 건축공학의 전산교육 또한 기능별 소프트웨어의 사용정도로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적이고 통합화 되어가는 산업체들의 전산화과정에 크게 뒤떨어져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건축공학 교과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산정보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두 개의 교과과정에서 연계되어 진행되었고 10개의 모듈과 1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결과는 학생들의 산업체 전산정보화에 대한 이해와 취업준비를 위한 능력 함양은 물론 창의력 개발에도 일조하여 지속적인 연구 또는 기술개발에도 진로 동기 부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Kang, L. S., andPaulson, B. C.(1998),'Informationmanagement to integrate cost and schedule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EngineeringandManagement. 124(5), pp. 419-426
  2. Jonathan Jingsheng Shi,.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for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March 2003, pp. 214-221
  3. James D. Lang., 'Industry Expectations of New Engineer: A survey to Assist Curriculum Designer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January 1999, pp. 43-51
  4. Iritishad U. Aijmad.,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gr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995, I3, pp. 163-171
  5. 박근영, '건설공사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CITIS 응용에 관한 연구', 건축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7권 제4호, 2001, pp. 103-110
  6. 최철호, '3차원 도입 및 모델링 필요성'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권 2호, 2002. 11
  7. 이교선,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관리학회지, 제3권 제 2호, 2002, pp. 99-106
  8. 한승헌, '건설프로젝트 협업적 가상기업으로서의 CITIS 모델 개발 및 성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3권 제 2호, 2002, pp. 87-98
  9. 윤재호, '건설사업관리 정보시스템(PMIS)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3권 제4호, 2002, pp. 132-140
  10. 이상현, 김인환, '건설산업분야의 IFC모델을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22 n.2 2002
  11. 전재열 외, '건축설계 단계별 협력설계 의사결정 지원 프로세스 구축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1호, 2003. 11
  12. 김재준 외,' 시공간계 정보 활용을 통한 웹 기반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 학회 논문집, 제 5권 1호, 2004.2 pp 99-106
  13. 이종대, '국내 건설산업의 정보화 수준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팔표대회논문집 , 제 22권 1호, pp 607-610
  14. 최윤기, '내역물량 측정에 의한 건설공사 진도율 산정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4권 3호, 2003.9. pp 137-145
  15. 박흥태, '산출내역서 공정 통합관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한국건축시공학회지, 2002, 12월호, pp. 153-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