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Factors on the Analysis of Demand Factors for Apartments

주택수요 예측인자 영향도 분석에 의한 상관인자선정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is research describes an interactive process of analysing the demand factors for apartment on Cheonan area Using subjective statistical data for demand factor the process are categorized into main factors explained for the sensitiveness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investigation i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work of time series data One of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is determining the correlation factor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model of forcasting.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on correlation matrix to iud the optimum correlation factors. The paper thus shows how to gain greater influntial factors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sequently, this paper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correlationship, but has limit of regional boundary for effectiveness.

주택수요는 수요유발 상관인자를 주축으로 한 주택수요 예측모형에 의하여 그 수표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주택수요 예측모형은 상관인자의 영향도에 따라서 인자의 미세한 추이변화에 대해서도 수요의 변화폭을 민감하게 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주택수요 예측에 동원 될 수 있는 여러 상관인자들 가운데 영향도가 가장 큰 인자가 무엇인지 찾아낼 필요가 있다. 이때 대상인자의 데이터는 횡단면자료(Cross Section Data) 혹은 시계열자료(Time Series Data)분석으로 수행된다. 즉, 영향도가 가장 큰 인자들을 찾아내는 방법마련이 필요하며 이후 이 방법에 따른 상관인자의 도출이 가능함에 따라 영향도가 가장 큰 인자를 발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의한 상관인자를 도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lfred A. Ring & J. Dasso, Real Estate Practices, 1997
  2. Appraisal Institute, The Appraisal of Real Estate, 10th ed., Chicago: Appraisal Institute, 1992
  3. 김두섭 외, 회귀분석, 나남출판, 2000
  4. 박성현, 회귀분석, 민영사, 2001
  5. 박성현 외, SPSS 아카데미, (주)데이터솔루션, 2003
  6. 이덕기, 예측방법의 이해, (주)데이터솔루션, 2002
  7. 이현 외, 주택시장 분석을 위한 자료조사 체계 및 기법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2
  8. 한국도시연감, 행정자치부, 199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