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의 식품섭취 실태 및 식사의 질 평가

  • Kim Bok-Ra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Mi (Chuncheon Vocational High School)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o assess the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Chuncheon area, a dietary survey using 24-hour recall method was conducted with 318 subjects. $71.4\%$ of total food intake was in the form of plant foods and the rest on the form of animal food.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food group pattern, dietary diversity score(DDS), and dietary variety score(DVS). When counting the major food groups consumed, $37.1\%$ of subjects had a DDS of 3 and $48.4\%$ of subjects had a DDS of 4. When investigat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major five food groups, only $14.5\%$ of subjects consumed foods from all five groups. On average, subjects habitually consumed 26.7 different foods daily, with the mean score of diet variety for males (27.3)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females (25.8) .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d DVS ranged from r=0.39 for vitamin $B_2$ to r=0.61 for phosphorus. NAR also improved as the number or foods or rna groups consumed increased (p<0.001). Associations between the NAR and high level of DVS was more positive than those between the NAR with DDS. When assessing the dietary quality of subjects using DDS and DVS, many people appeared not to have a desirable food intake. Therefore, to lead them to have nutritionally balanced diet, educat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on nutrients and suggesting guidelines for a desirable diet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so that they can intake from all of major food group and have various foods in their diet.

본 연구는 춘천지역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식품 섭취와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318명의 조사대상자들에게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조사를 하였다. 총 식품섭취량 중에서 식물성 식품의 섭취비율은 $71.4\%$이고 나머지는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하였다. 식사의 질은 식품군 섭취유형과 주요식품군 점수(DDS) 및 총 식품점수(DVS)에 의해 평가하였다. 주요식품군 섭취 평가에서 전체 조사대상자 중 DDS가 3인 경우의 비율은 $37.1\%$이고 4일 때는 $48.4\%$로 나타났다. 5가지 주요식품군을 모두 섭취한 경우는 $14.5\%$에 불과하였다. 또한 하루에 섭취하는 평균 식품가짓수는 26.7가지인데 남학생은 27.3가지, 여학생은 25.8가지로 남학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소 적정섭취비와 총 식품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비타민 $B_2$의 0.39에서부터 인의 0.61까지 범위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영양소 적정섭취비도 섭취 식품수나 주요식품군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p<0.001) 증가하였으며, NAR과 DDS의 관계에서보다 NAR과 DVS와의 관계에서 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DS와 DVS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을 때 많은 학생들은 바람직한 식품 섭취를 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주요식품군을 모두 섭취하고 섭취식품 가짓수가 많은 식생활을 하도록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 및 식사지침 제시가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0종으로 감소되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무비구에서 명아주, 바랭이, 여뀌순위였고, 지렁이분 150kg\10a 시비구에서는 쇠비름, 바랭이, 여뀌 순위로, 450kg/10a 시비에서는 여뀌, 새포아풀, 바랭이 순위로, 600kg/10a 시비구에서는 여뀌, 바랭이, 쇠비름 순위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보아 제주지역에서 Creeping bentgrass의 점유율과 밀도를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는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은 10a당 $450\~600kg$으로 추정할 수 있다.든 영역의 실생활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100kg/ha와 화학비료 100kg/ha 혼합하거나 톱밥발효돈분만 N 400kg/ha 까지가 적정 수준이다.EX>$b^{\ast}(\pm,\;yellowness/blueness)$ 값은 반응기질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55.1을 나타내었다(p<0.05).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는 남자는 $86.3\pm19.9cm$$90.0\pm90.8cm$, 여자는 $84.2\pm12.4cm$$96.8\pm6.72cm$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WHR이 여자의 경우 0.8이상이 되어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범위에 속하는 수준이었다. 삼두근의 두겹 두께는 남녀 각각 $20.2\pm8.58cm,\;22.2\pm4.40mm$으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상태는 전체 대상자의 $84.4\%$가 대부분이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식사속도는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