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Worm Casting Organic Fertilizer on Weed Invasion on the Creeping Bentgrass Sward

지렁이분 시비가 잡초의 침입과 벤트그라스 잔디초지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Jun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Ki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Kil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ang-Khil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Hyun Hae Nam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Il (Collage of Agric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July 10 in 2004 at JeJu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worm casting organic fertilizer rates (0, 150, 300, 450, 600 kg/10a) on creeping bentgrass sward.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plant height was getting longer as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from 0 to 600 kg/10a. But it was no significance from 450 to 600kg/10a. Root length, SPAD reading value, leave and root weight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response. Percentage of land cover and density of creeping bentgrass increased as fertilizer rate increased from 0 to 600 kg/10a. But percentage of land cover and density of weed decreased. Number of weed species were decreased as increasing of organic fertilizers. Then ranking of the dominant weeds were Chenopodium album var. cetrorubrum and Digitaria adscendens, Polygonum hydropiper (at 0kg/10a), Portulaca oleracea and Digitaria adscendens, Polygonum hydropiper (at 150kg/10a), Polygonum hydropiper and Poa annua, Digitaria adscendens (at 450 kg/10a), Polygonum hydropipr and Digitaria adscendens, Portulaca oleracea (at 600 kg/10a).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시비량 차이(0, 150, 300, 450, 600kg/10a)에 따른 한지형 잔디(Creeping bentgrass)의 식생의 변화를 검토하고,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1일부터 7월 10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지렁이분 600kg/10a까지 16.7cm에서 20.2cm로 커졌으나, 지렁이분 450kg과 600kg/10a 시비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장, 엽록소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엽중, 근중은 무비구에서 각각 788kg, 1,515kg/10a이었으나, 지렁이분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450kg과 600kg/10a 시비구에서는 엽중은 1,191kg에서 1,202kg/10a로, 근중은 2,060kg에서 2,141kg/10a으로 증수되었으나, 지렁이분 450kg과 600kg/10a 시비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비구에서 지렁이분 시비량이 600kg/10a로 증가함에 따라 잔디의 점유율은 $92.3\%$에서 $97.0\%$로 증가되는 반면, 잡초는 $7.7\%$에서 $3.0\%$로 감소되었다. 무비구에서 잔디의 밀도는 $97.2\%$, 잡초는 $2.8\%$ 이었으나, 지렁이분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600kg/10a 시비구에서 잔디의 밀도는 $98.1\%$로 증가되었고, 잡초의 밀도는 $1.9\%$로 감소되었다. 지렁이분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입잡초는 16.5종에서 12.0종으로 감소되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무비구에서 명아주, 바랭이, 여뀌순위였고, 지렁이분 150kg\10a 시비구에서는 쇠비름, 바랭이, 여뀌 순위로, 450kg/10a 시비에서는 여뀌, 새포아풀, 바랭이 순위로, 600kg/10a 시비구에서는 여뀌, 바랭이, 쇠비름 순위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보아 제주지역에서 Creeping bentgrass의 점유율과 밀도를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는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은 10a당 $450\~600kg$으로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균, 조남기, 송창길, 박정식, 문현기, 고미라, 조영일. 2003. 지렁이분 유기질비료 시비에 따른 봄감자의 생육 및 수량성. 아열대농엽생명과학연구지 19(1):81-85
  2. 김길웅, 신동현, 권순태, 박상조, 이성중, 김인섭. 1993. 남부 및 제주지방의 골프장에 자생하는 잡초분포. 한국잔디학회지. 7(2.3):67-80
  3. 김이현, 김기선, 김민균. 2001. 혼합유기질비료의 시용이 잔디생육과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화학회지 44(2): 192-132
  4.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농촌진흥청. pp 479-561
  5. 송창길, 조남기, 조익환, 강봉균, 고미라, 박성준. 2004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유기질 비료의 시비가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2(1):93-99
  6. 이상재, 허근영, 사공영보. 2001. 국내 골프 코스에서 시용되는 농약 및 비료의 환경적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5(2):87-104
  7.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조영일, 고동환, 고미라. 2003a.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유기질비료 시비량 차이에 따른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3(2):77-80
  8.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조영일, 고미라. 2003b.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유기질비료 시비량 차이에 따른 알타리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변화.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지. 19(1):45-50
  9. 조남기, 송창길 1995. 제주도 개량초지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침입잡초의 분포 및 생태반응.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 12:51-60
  10. 한국잔디연구소. 1992. 골프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유전문화사. pp. 346-347
  11. 함선규, 이정재, 김인섭. 1993.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한국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7(2 . 3):61-66
  12. 함선규, 이정재, 김인섭. 1994. 기비 및 추비에 의한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유기성폐기물자원화. 2(1):41-49
  13. Hall, J.R., J.S. Coartney and R.E. Schmidt. 1981. Effect of companion grass and other factors upon the speed and quality of putting green renovation: In R. W. Sheard(ed) Proc. 4th Int. pp 543
  14. Harada, Y. and A. Knoko. 1975. Soil Science. plant Nutr. 21:361
  15. Hoyt, P.B. and M. Nybrog. 1971. Toxic metal in acid soil. II. Estimation of plant available manganese. Soil. Sci. Soc. Amer. Proc. 35 : 242
  16. Huang, B., X. Liu and J.D. Fry. 1998. Effects of hight temperature and poor soil aeration on root growth and viability of creeping bentgrass. Crop science 38:1618-1622 https://doi.org/10.2135/cropsci1998.0011183X003800060034x
  17. Parks. O.C. and P.R. Henderlong. 1967.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rate of ten common turfgrass. Proceedings of the West Virginia Academy of Science. 39:132-140
  18. 樋口太重, 要原 淳. 1980. 有機物の形態と施肥. 窒素の行動た關する研究(第5報), 油脂化合物の 分解性と硫安窒素の有機化. 土肥試 51 (1):30-35
  19. 野口勝憲. 1992. 有機質肥料と土壌微生物(2). 農業および園藝. 62(9):5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