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Quality, and Soil Improvement of Legumes

콩과작물의 사초생산성, 품질 및 토양개량 비교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and soil improvement of three legumes at Cheonan Yonam College. The three legum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red clover(Trifolium pratense L.) and chinese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Flowering stage was observed on the 20th of April for chinese milk vetch and on the 30th of April for crimson clover, but the red clover did not produce flower until harvest time. The dry matter(DM)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legumes. In terms of DM yield, crimson clover has the highest yield, the highest yield in crude protein(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was red clover. In terms of forage quality, the highest CP content was red clover, while the chinese milk vetch was the lowest for both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acid detergent fiberr(ADF). Red clove. and chinese milk vetch were highest fur TDN content, and the chinese milk vetch has the highest for relative feed value(RFV). Assessment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fter harvest showed that the nitrogen content of soil increased in all legumes. The organic matter(OM) content of soil in both crimson and red clover increased, while the chinese milk vetch decreased. The available $P_2O_5$ decreased in all three legumes, but the biggest decrease was in the chinese milk vetch. The exchangeable potassium in the soil for both crimson and red clover increased, but in chinese milk vetch it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inese milk vetch was superior in terms of forage quality, but crimson and red clover are excellent in forage yield and in maintaining soil quality in upland.

본 시험은 월년생 콩과작물의 사초생산성, 품질 및 토양개량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천안 연암대학 실습농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콩과작물을 크림손 클로버(Trifolium incarnatium L.), 레드 클로버(Trifolium peratense L.) 및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Common'을 공시하였다. 자운영은 4월 20일에 개화하고 크림손클로버는 4월 30일 개화하였으나, 레드 클로버는 수확시까지 개화를 하지 않았다. 수확시 건물률은 크림손 클로버가 공시초종 중에서 가장 높았다. 건물수량은 크림손 클로버가 가장 많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레드 클로버가 가장 많았다. 콩과작물의 조단백질 함량은 레드 클로버가 가장 많았으나, NDF와 ADF 함량은 자운영이 가장 적었다. 따라서 레드 클로버와 자운영은 TDN 함량도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운영은 상대사료가치(RFV)도 높았다. 콩과작물 수확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 평가에서 토양의 전질소의 함량은 모든 작물이 파종전보다 증가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에서는 크림손과 레드 클로버는 파종전 보다 증가하였으나 자운영은 감소하였다. 유효인산은 모든 초종이 감소하였으나 자운영의 감소가 다른 초종보다 많았다. 토양의 K(potassium)는 크림손과 레드클로버는 파종전 보다 증가하였으나 자운영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운영은 사초품질은 우수하였으나, 사초품질과 토양개량에서는 크림손과 레드 클로버가 우수하여 밭에서 사료작물과 녹비작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1986. 사료작물: 그 특성과 재배방법. 선진문화사
  2. 김동암. 2001, 초지학. 선진문화사
  3. 김동암, 김원호. 1993. 추파사료작물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3(2): 122-131
  4. 김동암, 김종덕, 이광녕, 신동은, 정재록, 김원호. 1997. 콩과목초 잔주의 사일리지용 옥수수에 대 한 질소공급효과. 한초지 17(3):293-304
  5. 김종덕, 권찬호, 김수곤, 박형수, 고한종, 김동암. 2002.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의 사초생산성 비교. 동물자원지 44(5):617-624
  6. 김종덕, 김수곤, 권찬호 2004. 콩과목초의 사초 수량과 품질 비교. 동물자원지 46(3):437-442
  7. 농림부. 2003. 조사료 생산 이용기술 지도
  8.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 통계 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 비교. 한초지 20(3): 193-198
  9. 서종호, 이호진. 1998. 헤어리베치 피복을 이용한 옥수수 무경운 재배에 관한 연구. II. 질소시비 및 헤어리베치 피복에 의한 옥수수의 수량 및 질소 흡수량의 변화. 한초지 18(2):123-128
  10. 윤봉기, 김희권, 최형국, 박인진, 2004. 자운영 재배답에서 질소와 석회의 시용이 자운영의 부숙 과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제농지 16(2): 168-173
  11. 이재용. 2003. 조사료(수입조사료)의 정책방안. In 수입조사료의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초지학회, (사)한국단미사료협회
  12. 정지호, 이상복, 최유희, 소재돈, 이경수. 1992. 자운영이 논토양의 지력개선 및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호남농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pp. 709-714
  13. 홍광표, 김장용, 강동주, 강남대, 최진용. 1997. 벼-자운영 연속 무경운 직파재배에서 자운영 이용방법 차이가 초양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2(5):564-570
  14.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5. Baylor, J.E. 1991. Hay management in North America. In Field guide for hay and silage management. Boisen, K. K., Baylor, J. E. and McCullough, M.E. 1991. National Feed Ingredients Association
  16. Ebelhar, S.A., W.W. Frye and R.L. Blevins. 1984. Nitrogen grom legume cover crops for no-tillage corn. Agron. J. 76:51-55 https://doi.org/10.2134/agronj1984.00021962007600010014x
  17. Goering, H.L.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USDA
  18.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 Inc., Des Moines, IA
  19. Hoveland, C.S. and G.W. Evers. 1995. Arrowleaf, crimson clover, and other annual clovers. In Barnes, R.F. MilIer, D.A. and Nelson, C.J. (ed.) Forage (Volume I) : An Introduction to Grassland Agricultur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pp. 249-260
  20. Lee, Y., H.G. Park, O.D. Kwon, S.W. Kim and Y.J. Kim. 1998. Growth of rice plant and chemical propertied of soil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cultivated in machine-transplated rice. Korean J. of Crop Sci. 43(1):105-106
  21. Page, A.L., R.H. Miller and D.R. Keeney. 1982. Method of soil analysis (2nd ed.). Am. Soc. of Agron., Soil Sci. Soc. of Am., Madison. USA. pp. 699-709
  22. Reeves, D.W., C.W. Wood and J.T. Touchton. 1993. Timing nitrogen applications for com in a winter legume conservation-tillage system. Agron. J. 85:98-106 https://doi.org/10.2134/agronj1993.00021962008500010020x
  23. Walkley, A. and C.A. Black. 1934. Soil Sci. 37: 29-38 https://doi.org/10.1097/00010694-193401000-00003
  24. SAS Institute, Inc. 1999.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c., Cary, NC

Cited by

  1. The Effects of the Short-term Cultivation and Incorporation of Legume Green Manure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vol.33, pp.3, 2014, https://doi.org/10.5338/KJEA.2014.33.3.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