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rating a Slot Assignment Rule for Outbound Containers Having Imprecise Weight Information

부정확한 무게 정보를 가진 수출 컨테이너를 위한 장치 위치 결정 규칙 생성 방법

  • Kang Jae-Ho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Ryu Kwang-Ryel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ap-Hwan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재호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 류광렬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갑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outbound containers in a container terminal are classified into a few groups by their weights and stacked separately in a yard for easy and efficient handling.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a ship during loading, containers of heavier weight groups should be fetched out of a yard and loaded onto the ship before those of lighter weight groups. However, the weight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group is usually imprecise. Therefore stacks will actually be filled with mixture of different weight groups and rehandlings are unavoidable during loading operatio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rehandlings caused by imprecise information and a scheme for generating a simple but efficient slot assignment rule. Experiments have shown that a rule generated by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number of rehandlings by about $20\%$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lot assignment method which stacks only the containers of the same weight group in a single stack.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에 수출을 위하여 반입되는 컨테이너들은 그 무게에 따라 몇 단계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별로 장치된다. 이는 무거운 컨테이너들을 선박에 먼저 실어야 하는 적하 계획을 보다 쉽게 수립하고 장치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계획, 관리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장치장에 컨테이너가 반입될 때 해당 컨테이너의 장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컨테이너 무게 정보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아 장치장 공간 계획의 의도와는 달리 하나의 스택에 무게 그룹이 다른 컨테이너들이 섞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적하 작업 시 일부 컨테이너들을 임시로 이동시켜야 하는 재취급이 발생하게 되므로 적하 작업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무게 정보의 부정확성이 재취급을 얼마나 발생시키는지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무게 그룹의 흔적이 허용되는 상황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장치 위치를 실시간에 결정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규칙을 생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으로 생성한 장치 위치 결정 규칙을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스택에 동일한 무게 그룹으로 추정되는 컨테이너들만 장치하는 기존 방안에 비해 재취급 발생을 $20\%$ 정도 줄일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호, 오명섭, 류광렬, 김갑환 (2004): '반입 컨테이너 무게를 고려한 재취급 최소화 장치 위치 결정 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71-278
  2. 김갑환, 박영만 (1996): '무게를 고려한 수출 컨테이너의 장치위치 결정법,' 대한산업공학회지, 제22권, 4호
  3. 류영욱 (1998):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시간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4. 양지현 (2003): 재취급 최소화를 위한 흔적 결정 수리 모형 및 해법, 석사 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5. Castilho, B. and Daganzo, C. F. (1993): 'Handling Strategies for Import Containers at Marine terminals,' Transportation Research, Vol. 27B, No.2, pp. 151-166 https://doi.org/10.1016/0191-2615(93)90005-U
  6. Cho, D. W. (1982):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Containership Load Planning, Ph. D.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7. Kim, K. H. (1997): 'Evaluation of the Number of Rehandles in Container Yards,'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Vol. 32, No.4, pp. 701-711 https://doi.org/10.1016/S0360-8352(97)00024-7
  8. Kim, K. H., Park, Y. M., and Ryu, K. R. (2000): 'Deriving Decision Rules to Locate Export Containers in Container Yard,'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24, pp. 89-101 https://doi.org/10.1016/S0377-2217(99)00116-2
  9. Watanabe, I. (1991):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Method of Efficiencies of Container Terminal - An Approach to the Optimal Loading/Unloading Method,' Container Age, pp. 3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