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Flora of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고성철 (한남대학교 이과대학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 강신호 (한남대학교 이과대학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Ko Sung-Chu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nnam University) ;
  • Kang Shin-Ho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nnam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cdot}$중부${\cdot}$북부${\cdot}$울릉도${\cdot}$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from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composed of all 248 taxa including cultivated species, and classified into 1 phylum, 4 classes, 3 subclasses, 34 orders, 84 families, 178 species, 33 varieties and 4 forms. As compared the flora of the commonly distributing species of this region with those of the southern part, the middle part,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eju-do Island and Ulreung-do Island, the proportion of them were $90.3\%,\;98.0\%,\;79.0\%,\;73.8\%$ and $62.1\%$, respectively. One taxon of the plants distributed only in the southern part, 3 taxa of those in the middle part, 5 taxa of those in the middle-northern part and 23 taxa of those in the middle-southern part were found in this Valley. Natural resource plants were categorized into edible 118 taxa, medicinal 78 taxa, industrial 46 taxa, ornamental 39 taxa, timber 14 taxa and fiber 9 taxa. Four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re distributed in Dongwol Valley. The vegetation of the valley is Quercus and Rhododendron mixed forest, and it belongs to the boundary between the middle part and the southern part in the floral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오. 1971. 신한국지리. 새글사. 서울. 606p
  2. 고성철, 강신호. 2002. 금수봉의 식물상. 한남대학교논문집. 32 : 43-71
  3. 고성철, 태경환, 김완태, 이흥수. 1989a. 환산의 식물상. 한남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편). 19 : 175-199
  4. 고성철, 태경환, 김완태, 이흥수. 1989b. 도덕봉의 식물상. 한남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편). 19 : 201-225
  5. 고성철, 강신호, 이영심. 2004. 계룡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식물상. 국립공원 관리공단. 413p
  6. 김동감, 도재화, 전영호, 태경환, 김주환. 2000. 계룡산의 서사면 및 북사면의 식물상 연구. 한국식물상연구지. 5 : 69-99
  7.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 학. 서울. 408p
  8. 김진수, 손용한, 신준환, 최재천, 리처드 프리맥. 2000. 보전생물학. 사이언스북스. 서울. 348p
  9. 김정래, 태경환, 소주엽, 강신호, 고성철. 1995. 보문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편). 25 : 161-188
  10. 대전광역시. 2004. http://www.daejeon.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11.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문교부. 서울. 176p
  12.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 1-84
  13. 심정기, 태경환, 임인택, 윤창영, 김동갑, 김주환. 1998. 계룡산 남사면 일대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상연구지. 3 : 281-309
  14. 이순용, 태경환, 소주엽, 강신호, 고성철. 1995. 계룡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편). 25 : 243-280
  15. 이영노. 1968. 한라산과 홍도의 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의 식물상. 문화공보부. 서울. 367p
  16. 이영노. 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37p
  17.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I). 아카데미. 서울
  18. 이우철, 이은복. 1970. 계룡산 및 칠갑산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7 : 63 : 90
  19.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 1-33
  20.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
  21. 임경빈. 1987. 조림학원론. 향문사. 서울. 257p
  22.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II). 신지사. 서울. 1025p
  23. 정태현. 1957. 한국식물도감(I). 신지사. 서울. 507p
  24. 정태현. 1958. 계룡산 식물에 대하여. 성균관대학교논문집. 3 : 1-40
  25. 최두문. 1979. 충남도지. 상권 199p
  26. 환경부. 2001. 자연환경조사 Workshop. 환경부 54p
  27. Myers, N. 1984. The primary source: Tropical forest and our future. W. W. Norton. New York. 399p
  28. Nakai, T. 1909. Flora Koreana (I). J. Col. Sci. Imp. Univ. Tokyo. 26 : 1-304
  29.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 Col. Sci. Imp. Univ. Tokyo. 31 : 1-573
  30. Nakai, T. 1935. Towa-Shokubutsu. 283p.+87 pp. Iwanami Shoten, Tok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