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의 사업체 규모에 따른 화물발생 예측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Freight Gener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Company Siz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상철 (부산 진해경제자유구역청) ;
  • 최창호 (여수대학교 교통물류시스템공학부)
  • Park Sang-Chul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
  • Choi Chang-Ho (Division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ystem Engineering, Yos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화물발생 예측을 위해 주로 이용된 방법은 교통존을 중심으로 한 공간단위의 접근기법이다. 또한 연구사례에 따라 물동량 전수화 방법에 차이가 있고 모형에 포함된 변수가 다른 경우가 많아 일관된 화물발생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물동량 단위 예측기법은 개별 사업체를 대상으로 유출${\cdot}$입하는 화물 물동량과 종업원수, 매출액, 연면적, 부지면적 등 사업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업체 단위로 화물발생을 예측하는 것으로 공간단위 접근기법보다 간편하고 다른 지역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사업체이며 매출액을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회귀식을 추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회귀모형의 형태는 지수형으로 매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화물발생의 규모도 커지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교통 존 단위가 아닌 사업체 단위로 화물발생을 예측하는 보다 미시적인 연구방법을 개발함에 의의가 있다.

In korea, Freight generation models developed in korea were estimated by spatial unit method which predict freight flow by traffic zone.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freight generation using these models, because there are the difference of the totality method of sampling data on freight volume and the variability of the variables by these models on each case study, This study developed new estimation model to predict freight flow which is generated from each compan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such as the freight outbound & inbound volume, the number of employee, sales, gross area, land area. This model is simpler than the that of spatial unit and can apply to the other reg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mpanies in metropolitan area and types of model were exponential regression models. The adequate explanatory variable in the models were sales. this study have a uniqueness apply micro research method to estimate freight generation not use spatial unit method but use flow unit method by each company unit.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개발연구원(1997), 제1차 전국물류현황조사 보고서
  2. 교통개발연구원(1998),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수립 구상, 서울특별시
  3. 교통개발연구원(2003), 2002년 전국교통D/B 구축사업 물류현황조사 보고서
  4. 안승범, 김의준(2001), 지역간 화물수송수요 예측모형 정립, -화물발생 및 배분모형을 중심으로-, 교통개발연구원
  5. 이강대 (2000), 지역간 화물발생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정수정(1988), 지역간 화물발생 예측모형의 개발,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FHWA(1996), Quick Response Freight manual
  8. Meyberg, A. H. and Stopher, P. R.(1974),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Demand for Urban Goods Mov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496, pp. 68-79
  9. NCHRP(1995),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reight transportation Demand"
  10. Noortman, H. J.(1984), "Goods Distribution in Urban Area", Report of the 61st Round Table on transport economics, pp. 5-64
  11. Odgen,. K. W.(1977), "Modeling Urban Freight Generation",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March 1977, pp. 106-109
  12. Odgen,. K. W.(1991), "Truck movement and Access in Urban Areas', ASCE Journal of Transport Engineering 117(1), pp. 72-91
  13. Watson, P. L.(1977), "Urban Goods Movement, Lexingt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