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ing of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by the Extracts of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팔손이 용매별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 탐색

  • Kim, Dae-Ho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 Kim, Jung-Hwa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 You, Jin-Hyun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 Kim, Cheol-Hee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 Kwon, Min-Chul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 Lee, Hak-Ju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Baik (Dept. of Biology Chonnam Natl. Univ.) ;
  • Lee, Hyeon-Yong (School of Biotechnology & Bioengineering, Kangwon Natl. Univ.)
  • 김대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김정화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유진현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김철희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권민철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
  • 황백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 이현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in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All extracts of 1.0 $g/{\ell}$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in over 60% of the anticancer activites in A549 and MCF7 cells. Root barks inhibited 55%, 74% in A549 and MCF7 cell by adding ethanol extracts of $g/{\ell}$ concentration. The cytotoxicity of human lung nomal cell (HEL299) counted up to about 22% for ethanol extracts of root barks in 1 $g/{\ell}$ concentration. The activity of human immune T and B cells were increased up to $140{\sim}170%$ by adding ethanol extract of the root barks. Increasing trend of secretion of cytokine (IL-6, $TNF-{\alpha}$) from human B and T cell for 5 days cultivation has been abserved. From the results, the anticancer and immune-stimulatory activities of the roots extract were higher than the extracts of other parts.

국내에서 자생하는 팔손이 나무의 각 부위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물 용매를 이용하여 각각 $65^{\circ}C$$65^{\circ}C$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부위에 따른 항암 및 면역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부위에 따른 항암 활성 증진 효과 실험 중 근피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결과에서는 근피 부위가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어 다른 부위에 비해 $40{\sim}60%$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특징인 근피의 특이 활성을 나타내는 예인데 이에 반해 목부의 활성을 살펴보면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저농도의 시료에서는 100% 미만의 활성도를 나타냄으로서 면역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활성과 관련하여 Cytokine의 분비량과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이 가장 높은 때에 IL-6와 $TNF-{\alpha}$의 Cytokine의 분비량이 최대치인 $110{\sim}120$ $pg/m{\ell}$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앞선 결과들에 따라 팔손이 나무의 부위별 항암 및 면역 활성 실험에서 다른 두릅나무들과 수종들과 같이 근피의 높은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장 활성이 좋은 근피는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목부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최대 40% 이상의 높은 활성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서 근피의 추출물이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대표적인 특징 성분인 사포닌이 다른 부위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이는 후에 분획 및 물질 분석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어져야 할 사항으로 사료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Tomus 54. Angiospermae dicotyledonae Araliaceae Hoo, G.;Tseng, C.J.
  2. Korean J. Ginseng Sci. v.8 A study on the anticancer activies of lipid soluble ginseng saponin derivatives againgt some cancer cells Hwang, W.I.;Oh, S.K.
  3. Kor. J. Medicinal Crop. Sci. v.10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NAKAI endoermis Kim, M.J.;Kim, J.S.;Kang, W.H.;Yeon, K.D.
  4.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8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of four Acanthopanax root bark Kim, S.K.;Kim, Y.G.;Lee, M.K.;Han, J.S.;Lee, J.H.;Lee, H.Y.
  5.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21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genus Fatsia Decne. & Planch. and its relatives (Araliaceae) Lee, C.H.;Lee, S.T.
  6.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10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Lee, S.H.;Lee, H.S.;Park, Y.S.;Hwang, B.;Kim, J.H.;Lee, H.Y.
  7. J. Natl. Cancer Inst. v.82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 drug screening Philip, S.;Ritsa, S.
  8. J. Natl. Cancer Inst. v.82 Comparison of in vitro anticancer drug-screening data generated with a tetrazolium assay versus a protein assay againt a diverse panel of human tumor cell lines Rubinstein, L.V.;Shoemaker, R.H.
  9. Phytochemistry v.13 Triterpenoid saponins from Fatsia japonica Tadash, A.;Yumiko, T.;Takayuki, S.
  10. 한국의 자원식물 김태정
  11. 쇠비름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계에 끼치는 영향 오오진
  12. 천연기념물 백서 한국문화재청
  13. 고려인삼학회지 v.16 인삼의 항암작용 황우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