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주거시설 공용공간의 실내색채 사례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Color Characteristics for Common Spaces in Elderly Housing

  • 오혜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 박민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전공)
  • 발행 : 2005.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피고 있는 한국 노인주거시설의 색채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노인주거시설 계획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실증적인 사례연구로 2003년 10월 16일부터 10월 25일까지 노인주거시설 10곳을 선정, 직접 방문하여 각 공간을 측색 기록하고 사진촬영을 병행하면서 조사하였으며 Pantone for Home and fashion Color Guide을 사용하여 직접 비교 측색하였다. 측색한 값을 분석하기 위해 Pantone사의 Chooser3.0을 사용해 RGB와 HTML칼라로 변환하고, 칼라칩을 색측계 Minolta CR200을 이용하여 직접 측색하여 먼셀 값으로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노인주거시설에 사용된 색채를 보면, 명도는 고명도에서 저 명도까지 쓰였고 채도는 주로 중채도에서 저채도까지 그리고 주로 난색계열이 쓰이고 있었다. 둘째, 한국 노인주거시설 실내구성요소를 보면, 천장과 벽이 거의 흰색에 가까운 고명도의 Y, GY계열의 색을 사용하고 있고 바닥 또한 Y, YR계열의 비중이 높아 색채배색이 유사하고 단조로웠으며 획일적인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색채의 사용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 노인주거시설 각 공간에 사용된 색채는 대부분 서로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는 일률적이며 단조로운 색채계획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라 보여 진다. 따라서 앞으로 노인주거시설을 계획할 때에는 보다 다양한 색채의 조합으로 공간간의 연계성을 가지되 각 공간의 특성이 부각되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 노인주거시설에 사용된 색채를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 연결해서 살펴보면, 대부분기 시설에서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색채계획이 되어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보다 적극적인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다섯째, 조사대상 주거시설의 특성에 따른 실내색채를 보면 임대료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그 중에서도 고가의 임대료를 내는 한 사례에서만 비교적 적극적으로 색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외에 중가나 저가의 임대료를 내는 시설에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확연히 부족하였다. 실내를 계획함에 있어 색채는 저가의 예산이라면 수성페인트 등을 사용하는 등 비교적 저 예산으로도 훌륭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분야임으로 보다 세심한 계획 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or color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filed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6 and October 25, 2003, visiting 10 elderly housing facilities. A three step analysis of the facilities was involved. First, floor, walls, ceiling, base boards and doors in common spaces were examined for the color scheme using the 'Pantone for Fashion and Home Color Guide' for each room. Measured Pantone numbers were converted to RGB color using 'Chooser 3.0 of Pantone, Inc.' Finally, the conversions were recorded as Munsell numb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rightness used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ranges from high value to low value while the chroma ranges from the middle chroma to low chroma. The warm colors of Y and YR are mainly used, followed by GY and R. Second, the colors used for elderly housing facilities are found inter-related. For example, the main color in the lobby is also used for corridor and used again in dining room, library, and treatment room. Third, in terms of the color scheme, it is best help the elderly, who generally have lower recognition capability, by highlighting the distinction and attention by using the dearly distinctive accent color for the transition space, edge of the hallways or in front of the door to the units and having different color for each floor. But in most facilities except one or two, this consideration is ignored. Fourth, there is difference in color selection between elderly housing with low and high rental value. Only one facility, the most high priced one, has aggressive color arrangement, and the others show very little consideration of the elderly's nee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