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마감공사에서의 택트타임 설정을 통한 작업조정 프로세스 개발 - 오피스 건축물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act time at finish 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Office Building -

  • 윤유상 (혁신적 건설프로세스 관리 연구센터) ;
  • 서상욱 (경원대학교 건축학과)
  • 발행 : 2005.12.31

초록

현대의 건축공사는 고층화 추세에 따라 반복공정의 수가 증가하여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 및 공사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많은 반복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마감공사는 작업흐름의 관리에 따라 전체공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작업 연속성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마감공사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 작업연속성을 확보하여 목표공기를 달성하는 기법인 택트 공정관리에서는 택트타임을 설정하여 반복작업의 작업편차를 일정하게 하여 공사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기존 택트공정 관리와 관련된 연구는 작업구역분할, 작업일보, 택트 공정관리 프로세스 등을 수행하였지만 작업 연속성 확보를 위한 택트타임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점추정견적 방법에 의한 택트타임의 설정방법과 작업기간 조정절차를 제시하여 택트타임 기반의 공정계획수립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택트공정 계획 수립을 통해 목표공기가 지연되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Poor usage of work-continuity for planning and management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creased productivity in high-rise and complexity construction projects. For efficient finish work, tact scheduling method needs to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act time. But there are the studies about zoning of work area, dail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act planning and management, there are not the studies about tact tim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mplementation of tact scheduling by tact time and adjusted work-pla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Tact time has been calculated as coordination of work-plan between a general contractor and specialties. (2)Project-plan can be without delay by tact time calculation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석, '건축공사의 반복공정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김영재 외 5인, '건축공사 마감공기 단축을 위한 택트공정관 리 프로세스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대한건축학회, 19권 1호, 2003, pp. 161-168
  3. 김선국 외 5인, '작업일보 정보를 이용한 택트공정관리방안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4권 제4호, 2003, pp 80-87
  4. 서상욱 외 4인, 'TACT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적용사례',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4권 제4호, 2003, pp. 145-154
  5. 윤유상 외 5인, '작업구역의 합리적 분할에 의한 건축 마감공 사의 공정운영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4권 제2호, 2003, pp. 59-65
  6. 한국건설관리학회, '사무소 건축의 마감공기 단축을 위한 영 향요인 분석 및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2002
  7. Choo and Tommelein(1999). 'Parade Game,' Tech. Report-99,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rogram,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