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보행자 사고재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Korean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류태선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 발행 : 2005.10.31

초록

교통사고 중 차대보행자 사고의 원인분석은 차대차 사고에 비해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차대차 사고의 경우에는 실차충돌실험을 통해 많은 자료를 축척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실제 교통사고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차대보행자 사고의 경우에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볼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차대보행자 사고에 대하여 더미를 이용한 실차충돌실험을 통해 많은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보행자사고의 정확한 원인분석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차대보행자 사고의 해석과 관련된 모형이 개발되지 않아 외국의 모형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의 모형을 이용하게 되면 차량과 보행자의 체위특성이 다른 경우 왜곡된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많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수집된 보행자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차대보행자 충돌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차량의 속도에 따라 외국의 모형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모형 중에서는 차량 및 보행자의 체위 특성이 유사한 일본의 모형과 가장 흡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수십개의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장래에 보다 폭넓은 자료를 통하여 모형의 신뢰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 pedestrian accident is generally less fully understood than the 'typical' car-to-car collision. For this reason, the analysis of the pedestrian accident is, in many respects, more complicated and dem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learly the impact point that is the main subject of struggle in pedestrian accidents.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it is very significant to classify actual accident data including impact velocity. vehicle damage and injury scale of pedestrian.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local branches of RTSA(Road Traffic Safely Authority). The number of collected data were 34 cases and 61.7% of them were fatal accidents. In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ata by statistical method, it revealed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impact velocity and throw distance. It, also shows that the impact velocity has strong linear correlation to vehicle damage and injury scale. Consequently, reconstruction analysis models of pedestrian accidents considering in local circumstances(such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was develop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 of this study to all sorts of pedestrian accidents, because the actual accident data which were used to develop the model were limi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nalysis model applicable to diverse circumstances with a wide range of pedestrian accident data on a national basis.

키워드

참고문헌

  1. 장영채(2002), '02.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
  2. 유장석(2002),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보행자 충돌 속도와 충돌위치 재현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통계자료, '2001-2003년판 교통사고통계분석'
  4. Andreas Moser., et al.(2000), 'Validation of the PC-Crash Pedestrian Model', SAE 2000-01-0847
  5. Jerry J. Eubanks & W. R. 'Rusty' Haight (1992), 'Pedestrian Involved Traffic Collision Reconstruction Methodology', SAE 921591
  6. Schmidt D. N. & Nagel. D. A. (1971), 'Proceeding Impact Case Study'
  7. Stcherbatchef, G., et al., 'Simulation of Collisions Between Pedestrian and Vehicle Using Adult and Child Dummies', SAE #751167
  8. Collins, James C. and Morries, Joe L., 1979, 'Highway Collision Analysis', Thomas Publishing
  9. Kuhnel A.-Der Fahrzeug-Fubgangerunfall und seine Rekonstruktion, TU Berlin, Dissertation 1980
  10. Searle J. A.-The Physics of Throw Distance in Accident Reconstruction, SAE #930659
  11. Eubanks, J. J.(1986). 'Fall and Slide Quadratic', IAARS
  12. Eubanks, J. J., Pedestrian/Bicycle Accident Reconstruction Course, Handout material. Texas A&M, Boise State University, Canadian Police College
  13. Wood. D. P. and Riordain. S. O. (1989), Impact Speed From Bicycle. Motorcycle and Rider Throw Distance. Proceedings of the Canadian Multidisciplinary Road Safety Conference VI, University of New Brunswick
  14. Fricke. L.B. (1990). Vehicle-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Northwestern University Traffic Institute. Topic#877 and Traffic Accident Volume 2
  15. Clark. W. Phd.. Personal Communications
  16. Limpert. R, Motor Vehicle Accident Reconstruction and Analysis. 2nd Edition. The Michie Company
  17. Galli. A.. Personal Communications
  18. 林佯(1992). 自動車事故鑑定工學. pp.192-194
  19. Tony L. Baker.(2000). Vehicle-Pedestrian Collision Investigation Manual. IPTM
  20. Jerry. J. Eubanks and Paul F. Hill (1998),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and Litigation'.'
  21. Rudolf Limpert(1989), 'Motor Vehicle Accident Reconstruction Analysis 4th Edition', p.663
  22. Committee on Medical Aspect of Automotive Safety: Rating the severity of tissue damage (1971).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J.A.M.A., pp.215 : 227-280
  23. 조이현 외 3명(1989), 'AIS 및 ISS 분류에 의한 새로운 외상환자 표시법',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24권 제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