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Competitiveness betwee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main Asia Airports in Air Cargoes (An Application of Reversed Fuzzy Evaluation and Senario Model)

인천국제공항의 항공화물 경쟁력분석에 관한 연구 (퍼지역평가 및 시나리오 분석을 적용하여)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Main airports in the Intra-Asian market have faced competition not only to attract China-bound transshipment cargoes but also to be hub airport in same region. In spite of such a importance, the previous research has been short of evaluation of airport competitiveness. Implic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been focused on evaluation of airport critical factor service qualify and efficienc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critical points that affect airport competitiveness using an algorithm based on reversed fuzzy evaluation and senario method. The results of senario analysis and reversed fuzzy evaluation shows th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enhance service level of 7% as a result of senario analysis and service level of 5% and brand equity level of 10%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reversed fuzzy evaluation analysis, to ensure competitiveness in same region.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속성들을 추출하고 이 속성들을 토대로 구조화된 설문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 항공화물 유치를 위한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경쟁 공항 간 항공화물 경쟁력 통합평가치의 결과에서는 창이가 가장 경쟁력이 높은 공항으로 나타났으며 푸동이 경쟁력이 가장 낮은 공항으로 나타났다. 경쟁력 순위를 살펴보면 창이>쳅락콕>인천>간사이>푸동 순이다. 또한 시나리오 평가와 퍼지 역평가 결과 인천공항은 서비스 수준을 7% 상승시키거나, 또는 서비스 수준 5%와 브랜드가치 수준 10%를 상승시킴으로써 창이공항과 대등한 경쟁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향후 인천공항의 개선요인과 개선의 수준을 결정시, 시나리오 분석의 결과와 역평가 결과를 상호 비교 평가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개발연구원(2004). 21세기 국제항공 정책 방향 공청회. pp.42-45
  2. 김종석 외 1명(1998) .인천국제공항의 항공화물 허브화를 위한 정책방향, 교통개발연구원.
  3. 김제철 외 1명(2002). 항공화물수송부분의 경쟁력강화방안, 교통개발연구원
  4. 대한항공 내부자료. 2003
  5.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2003) . 동북아 경제중심 추진의 비전과 과제. p.52
  6. 류형근외 2명 (2004) . '퍼지 역평가법과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상하이 및 북중국과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7호. pp.49-57
  7. 박용화(2001), 인천국제공항 경쟁력 강화방안. 교통개발연구원
  8. 이영혁 외 2(2004)명, DEA분석에 의한 아시아 공항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22권, pp.7-17
  9. 이윤철(2001), 허브공항으로서의 인천국제공항 I & II. Web Journal This
  10. 여기태(2001), 'HFP법에 의한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경쟁국의 항만물류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국제경영연구
  11. 한국항공진흥협회(2002&2004), 항공통계(국내편 & 국제편)
  12. Adler N. and Berechman. J (2001). 'Measuring Airport Quality from the Airlines' Viewpoint: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Transport Policy 8. https://doi.org/10.1016/S0967-070X(01)00011-7
  13. Bazargan.M Vasigh B(2004).. 'Size Vs Efficiency : a Case Study of US Commercial Boeing Co.'. World Air Cargo Forecast 2004-2005
  14. Ferandes. E.. Pacheco. R.R. (2004) 'Efficient Use of airport Capacity', Transportation Reasearch Part A. Vol.8
  15. Gillen. D. and Lall. A. (1997). 'Developing Measure of Airport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E. Vol.33 https://doi.org/10.1016/S1366-5545(97)00028-8
  16. Martin. J. C. and C. Roman(2001). 'An Application of DEA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Spanish Airports prior to Privatization'.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Vol.7 https://doi.org/10.1016/S0969-6997(00)00044-2
  17. Pels. E., P. Niikamp and P. Rietveld (2001), 'Relative Efficiency of European Airport'. Transport Policy. Vol.8 https://doi.org/10.1016/S0967-070X(01)00012-9
  18. Sarkis. J(2000).,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Major Airport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Vol.18 https://doi.org/10.1016/S0272-6963(99)00032-7
  19. UNCTAD(1993). Strategic Planning for Port Authorities. p.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