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적정인구: 경제학적 관점

Optimum Population in Korea : An Economic Perspective

  • 발행 : 2005.12.25

초록

한 사회/국가의 적정인구는 '그 사회/국가의 기술,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선택 가능한 경로위에서 현재와 장래의 세대에 걸쳐 사회후생수준을 극대화하는 인구경로'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인구의 적정규모 또는 적정증가율은 (i)사회후생함수와 (ii)생산함수가 주어진다고 할 때 (iii)한편으로는 국민소득의 처분과정이 출산력, 교육수준, 사망력 등 인구요인과 갖는 관계, 다른 한편으로는 소득의 처분과정에 따라 달라진 인구요인이 생산함수와 연계되는 과정, 즉 인구-경제 연관관계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이 정의에 의하면 적정인구경로는 주어진 생산함수와 인구-경제 연관관계하에서 사회후생함수를 극대화하는 동태적 최적화과정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적정인구경로는 사회후생함수, 생산함순 인구-경제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여러 파라메타들의 함수로 나타나게 되며 이들 파라메타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향후 전망치를 대입하면 우리나라의 적정인구경로가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경제학계의 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사회후생함수, 생산함수, 인구-경제연관관계를 설정하고 각 파라메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실증적 전망치를 대입하여 우리나라의 적정인구경로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적정인구경로는 TFR=1.8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편탄력도외 크기로 보았을 때 적정수준에서 TFR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육아비, 자본소득배분율, 소비율, 시간선호(할인)율, 효용의 인구탄력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정인구에 대한 인식이 사회경제계층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연구를 위하여 시행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육아비, 시간선호(할인)율, 효용의 인구탄력도가 계층별로 큰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기성세대보다는 신세대, 고학력자보다는 저 학력자의 적정인구경로가 낮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타나는 메스꺼움이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저 혈당현상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은 인슐린 대용약물이 될 수 없으며 당뇨병성 케토산증의 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 약물은 심한 신부전이 있거나 말기신장질환 환자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내 ALT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간 기능의 손상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앞으로 연근(蓮根)의 이러한 작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optimum population of a society or country can be defined as 'the population growth path that maximizes the welfare level of the society over the whole generations of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under the paths allowed by its endowments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technology, capital and labor'. Thus, the optimum size or growth rate of population depends on: (i) the social welfare function, (ii) the production function, and (iii)demographic economic interrelationship which defines how the national income is disposed into consumption(birth and education of children included) and savings on the one hand and how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duced thereby, in turn, affect production capacities on the other. The optimum population growth path can, then, be derived in the process of dynamic optimization of (i) under the constraints of (ii) and (iii), which will give us the optimum population growth rate defin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thereof. This paper estimates the optimum population growth rate of Korea by: specifying (i), (ii), and (iii) based on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nomic theories, solving the dynamic optimization problem and inserting empirical estimates in Korea as the parametric values. The result shows that the optimum path of population growth in Korea is around TFR=1.81, which is affected most sensitively, in terms of the size of the partial elasticity around the optimum path, by the cost of children, share of capital income, consumption rate, time preference, population elasticity of utility function, etc. According to a survey implemented as a follow up study, there are quite a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perceived cost of children, time preference rate, population elasticity of utility across different socio-economic classes in Korea, which implied tha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older generation and more highly educated classes prefer higher growth path for the population of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훈, 홍동표(2003), '한국 IT사업의 성장요인 및 생산성 분석', <경제학연구> 51(4): 141-160
  2. 김광석(1998), <우리경제의 성장요인과 성장잠재력 전망>, 세계경제연구원
  3. 김동석, 이진면, 김민수(2002),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 1963-2000>, 한국개발연구원
  4. 이삼식 (2004), '계층 간 출산형태 및 출산력 차이', 한국인구학회 국제학술회의 발표 논문
  5. Barro, Robert J.. Becker, Gary S.(1988), 'A Reformulation of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3(1): 1-25 https://doi.org/10.2307/1882640
  6. Barro, Robert J .. Becker, Gary S. (1989), 'Fertility Choice in a Model of Economic Growth', Econometrica 57(2) : 481-501 https://doi.org/10.2307/1912563
  7. Becker, Gary S .. Murphy, Kevin M .. Tamura, Robert.(1990), 'Human Capital,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5): S12-37 https://doi.org/10.1086/261723
  8. Dasgupta, P.S. (1969), 'On the Concept of Optimum Population',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36(3): 295-318 https://doi.org/10.2307/2296429
  9. Galor, Oded Weil, David N.(2000), 'Population, Technology, and Growth: From Malthusian Stagnation to the Demographic Transition and Beyond', American Economic Review 90(4) : 806-28 https://doi.org/10.1257/aer.90.4.806
  10. Galor, Oded Weil, David N.(2000), 'Population, Technology, and Growth: From Malthusian Stagnation to the Demographic Transition and Beyond', American Economic Review 90(4) : 806-28 https://doi.org/10.1257/aer.90.4.806
  11. Ohlin, Goran.(1967), The Economics of Population Growth in Population Control and Economic Growth, Paris: Development Center, OECD 53-64
  12. Samuelson, Paul A.(1975), 'The Optimum Growth Rate for Population',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16(3): 531-38 https://doi.org/10.2307/2525993
  13. Sauvy, A.(1968), 'Population Theories, D. L. 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J
  14. Votey, Harold Jr.(1969), 'The Optimum Population Growth: A New Look', Journal of Economic Theory, 273-290196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