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층 확장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perficially Spreading Early Gastric Cancer

  • 권성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형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Kwon, Sung-Jo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Hyoung-Ju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5.12.30

초록

목적: 표층 확대형 조기위암은 위벽 내로의 깊은 침윤은 없으면서 위의 표층부를 넓게 퍼져 나가는 성장형태가 특징이다. 이는 조기 위암 가운데 드문 형태로서 이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은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규명 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고 조기위암이 확인된 38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가운데 종양의 최대 직경이 6 cm 이상이거나 종양의 면적이 $5{\times}5cm\;(25cm^2)$ 이상이었던 69명을 표층 확대형, 그 이하인 319명은 일반 형으로 정의하고 두 그룹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표층 확대형의 경우 일반형에 비하여 림프절 전이, 미만형, 림프관 침윤이 의미 있게 많았다. 표층 확대형에서 림프절 전이 위치는 위 주위와 총간동맥 주위, 좌위동맥 주위에 국한되었다. 종양의 변연부와 절제선까지의 거리가 10 mm 이하이나 절제선 내 암침윤은 음성이었던 6예는 추적관찰 기간($4 {\sim}13$년)동안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단 변량 생존 분석에서 58세 이상의 연령, 위 상부1/3 위치 암, 림프절 전이 예, 점막하층 침윤 예 등이 의미 있는 불량예후인자였다. 다변량 생존분석에서는 연령 및 림프절 전이 여부만이 독립적인 예후관련 인자였다. 그러나 표층 확대형 여부는 의미 있는 예 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표층 확대형 조기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으나 이의 치료 시 절제선 음성을 확인하며 위절제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은 $D1+{\beta}$범위에서 곽청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 할 수 있겠다.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Purpose: Superficially spreading (SS) early gastric cancer (EGC) is characterized by wide horizontal extension without deep vertical invasion. It is a relatively rare form of EGC, and it's clinicopathological (C-P) characteristics are not evid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ir C-P characteristics. Materials and Methods: We defined SS EGC as invading less than the submucosal layer that measured more than 60 mm in diameter or wider than $5{\times}5cm \;(25cm^2)$ in width. The C-P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were compared between 69 patients with SS EGC and 319 patients with the common type EGC (EGC except SS type). Results: For SS EGC lymph node metastases, Lauren's diffuse type, lymphatic inva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mmon type EGC. In patients with SS EGC, all of the metastatic lymph nodes were anatomically distributed within the paragastric region, with fewer along the left gastric artery and common hepatic artery. In 6 cases of SS EGC with resection marqins less than 10 mm, there was no death during the follow-up period (4 to 13 years after operation) if margins were not involved. Age (>58 yrs), tumor site (upper 1/3), lymph node metastasis, submucosal inva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or prognostic factor in univariate survival analysis. In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ag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However, tumor diameter or width was not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Although SS EGC has histologically distinct properties, gastrectomy with free surgical margins and appropriate lymph node dissection $(D1+{\beta})$ could be a suitable treat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