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동반한 위암에서 Chk1 유전자의 돌연변이

Mutation of the Chk1 Gene in Gastric Cancers with Microsatellite Instability

  • 이종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조용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송재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박조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수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남석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이석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유남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이정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박원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Lee, Jong-Heun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Cho, Young-Gu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ong, Jae-Whie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o-Hyun (Department of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Su-Yeo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Nam, Suk-Woo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Sug-Hyu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Yoo, Nam-Jin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Jung-You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Park, Won-Sa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5.12.30

초록

목적: Chk1 kinase는 세포 내 DNA 손상에 따른 세포주기의 저지에 관여하며 G2/M checkpoint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자들은 위암에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과 Chk1 유전자의 격자이동 돌연변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95예의 위암조직에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상과 암세포를 미세절제한 다음 6개의 현미부수체 표식자를 이용하여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이 있는 예에서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과 염기서열 분석으로 Chk1 유전자의 격자이동 돌연변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은 95예의 위암 중 19예 (20%)에서 발견되었는데 고빈도와 저빈도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은 각각 13예와 6예였다. 고빈도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는 13예 중 2예에서 Chk1 유전자의 격자이동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미노산의 격자이동으로 truncated 단백을 형성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은 Chk1 유전자의 격자이동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세포주기 조절 기능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위암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urpose: The protein kinase Chk1 is required for cell cycle arrest in response to DNA damage and is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2/M checkpoi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frameshift mutation of the Chk1 gene in gastric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The microsatellite instability was analyzed in 95 primary gastric carcinomas by using microdissection and 6 microsatellite markers. We also peformed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and sequencing to detect frameshift mutation of the Chk1 gene. Results: We found positive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19 (20%) of the 95 gastric cancers, 13 high- and 6 low-frequency microsatellite instability cases. The frameshift mutation of Chk1, which resulted in a truncated Chk1 protein, was detected in two high-frequency microsatellite instability case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icrosatellite instabilit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rcinomas through inactivation of Chk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