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차로 길이에 따른 합류행태 및 합류부 교통특성 분석

Analysis of Merging Behavior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n Freeway Merging Areas According to Acceleration Lane Length

  • 이승준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박재범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강정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발행 : 2005.12.31

초록

본 연구는 고속도로 가속차로 길이에 따른 합류부의 교통특성과 지정체양상 및 혼잡수준을 분석하여 가속차로의 길이가 합류부 교통소통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속차로의 길이가 확연히 다른 두 합류부(수원IC 및 신갈JC)에 대하여 합류부(가속차로구간)를 여러 소구간으로 나누어 카메라로 교통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합류부 상하류 구간 조사하였다. 조사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는 교통류 특성변수인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를 사용하였고, 합류부에서 합류의 영향과 지정체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밀도변화량이란 새로운 척도를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가속차로의 길이가 긴 신갈JC의 혼잡도가 수원IC에 비하여 확연히 심하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과 특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cceleration lane lengths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s. Two merging areas, Suwon IC and Singal JC, which have remarkably different acceleration lane length were selected as field study sites. Traff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viding each merging area into several subsections. Not only conventional flow, speed and density data but also a newly introduced MOE, density variat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erging area. Singal JC which has longer acceleration lane than Suwon IC showed more severe congestion, and the cause of the results was figured ou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구(1997), 고속도로 합류구간 교통특성 및 용량 모형식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 대한교통학회(2001), 도로용량편람
  3.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4. 신치현 . 김규옥(2005), 가속차로의 길이 제어와 고속도로 접속부 혼잡저감 효과,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 pp.169-176
  5. 이승준 . 이정도 . 최재성(1999), 확률모형을 이용한 엇갈림 구간의 교통류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9
  6. 이승준(2002) , 고속도로 전체 구간의 용량 산정 방법론 정립,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7. 이승준 . 박재범 . 강정규(2005), 가속차로 길이에 따른 합류부 교통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5년도 정기학술대회
  8. 최재성 . 이승준(2000), 도시고속도로 엇갈림 구간의 합리적 설계를 위한 교통 특성 분석 (I),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33-42
  9. 최재성 . 이승준(2001), 고속도로 합류부 임계차두 간격 및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95-205
  10. Drew, Donald R.(1968), Traffic Flow Theory and Control, McGraw-Hill
  11. Edited by Messer C.J. et al,(1997), Traffic Flow Theory-A Monograph (Revised Edition), Special Report 16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2. Hall, F. L. and Agyemang-Duah. K. (1991), Freeway Capacity Drop and The Definition of Capacity,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3. Highway Capacity Manual(20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4. May, Adolf D. (1990), Traffic Flow Fundamentals, Prentice-Hall
  15. Ruediger Lamm . Basil Psarianos . Theodor Mailaender(1999),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