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의 국가 기준점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National Control Points in Jeju Area

  • 정영동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양영보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발행 : 2005.09.01

초록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측지망을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A rapidly developed satellite technology is used in comprehensive fields such as spatial data aquisition and applications. Especially a GPS positioning is expected to reinvigorate at the national reference system changes to ITRF (International Terrain Reference Frame). Currentl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issues a triangulation point coordinate by separating old and new coordinates and in the year of 2007 it will be scheduled to be changed ITRF. The triangulation point coordinate in Cheju area causes some problems due to the difference original observation and re-observation. Thus in this study a GPS observation is conducted after re-organizing geodetic network based on 1st and 2nd order triangulation 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triangulation points in Cheju area. After the GPS observation data analysis, stable points were extracted, proposed a geodetic network and its appl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영진 (1998), 3차원 기선벡터망 조정기법에 의한 국가기본점의 성과산정(KTRF94), 한국측지학회지, 제 16권, 제 1호, pp. 85-94
  2. 이용창, 정밀절대측위 기법에 의한 GPS 기준점 좌표의 산정, 한국측지학회지, 제 17권, 제 2호, pp. 145-152
  3. 최재화, 최윤수 (1994), 우리나라 정밀 1차 측지망 측량의 성과분석, 한국측지학회지, 제 12권, 제 1호, pp. 15-24
  4. 최재화, 최윤수 (1995), 1, 2등 삼각점의 실용성과 정밀산정, 한국측지학회지, 제 13권, 제 1호, pp. 1-12
  5. 행정자치부 (2005. 3. 2), GPS를 이용한 지적측량 기술개발등에 관한 연구, 제 1과제
  6. Paul R. Wolf Charles D. Ghilani (1996), Adjustment computatin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