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sideration on the Major Concepts of Rural Social Geography in Korea

한국 촌락사회지리학의 주요 개념 모색

  • Jeon Jong-Han (Research Center for Settlement Commun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전종한 (충남대학교 마을공동체연구단)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Social geography in Korea has been studied centering around urban social geography which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English world, and then there have been a few concepts and theories that were tested in the rural social geography of Korean rural landscape. This article tried to grasp the conceptual basis of German social geography, and had views on the rural social geography in the relent English world. As a result,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rural landscape would be a representation of rurality, a component of local and national identity, and thought to be not only a physical reality but social, mental, cultural reality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the author explored major concepts which would correspond with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Korean rurality. They are as follows: 'lineage group' as a geographical socio-group, the 'regionalization' by social groups, and 'the territoriality of settlement' as a social space.

한국의 사회지리학은 영미 계통의 도시사회지리학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촌락사회지리학에 대해서는 개념적, 이론적 논의가 매우 빈곤한 편이다. 이 글에서는 20세기 전반 동안 촌락 경관에 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로 시작된 독일 사회지리학의 개념적 기초를 파악한 후, 1980년대 이후 크게 발달한 영어권 촌락사회지리학의 등장 배경과 연구 동향을 조망하였다.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촌락 경관이 촌락성의 표상이며 지방과 국가 정체성의 핵심 요소가 된다는 점, 그리고 물리적 실체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실체라는 점을 정리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인식 위에서 한국 촌락의 경관적, 장소적 보편성과 특수성에 상응하는 주요 개념들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자는 이것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는데, 지리적 사회집단으로서의 종족집단, 사회집단의 지역화과정,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촌락권이 그것이다. 특히 전통 문화의 산실로서 촌락경관은 일상적 삶, 농업, 관광 사업의 중심에 있고 각 지역의 정체성은 물론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최근에는 학제적 수준에서 마을 연구가 크게 부흥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지성 세계의 동향에 촌락지리학이 동참하기 위해서는 사회지리학적 개념들과 역사지리적 시각에서 복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金德鉉 1983, '民族村落의 形成過程과 立地 및 儒敎文化 景觀-安東地方의 土族村落을 中心으로' 地理 學論文叢, 10, 241-251
  2. 金相昊, 1976, '生活空間의 基礎地域 硏究-面.里.洞의 地域的 基盤-,' 地理學硏究, 1(2), 1-25
  3. 金日基, 1988, 곰소灣의 漁業과 漁村硏究,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4. 길용현 . 김영성, 1984, '사회복리의 지역격차 변동: 1970-1980,' 地理學硏究, 9, 305-324
  5. 김기혁, 2002, '농업. 촌락지리학,' 한국의 학술연구 - 인문지리학 -(인문 . 사회과학편 제13집), 대한민국학술원,169-212
  6. 김재한, 2002, '사회 . 인구 정치지리학' 한국의 학술연구 - 인문지리학 -(인문 . 사회과학편 제13집), 대한민국학술원, 213-243
  7. 南宮健, 1983, '開招村의 文化地理學的 硏究 - 全北 沃溝郡 米面 山北里 于潟地 開拓촌을 中心으로-,' 地理學의 課題와 接近方法[석천 이찬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492-522.
  8. 南宮鍵, 1993, '萬煩江流域의 聚落類型의 生態的인 特色,' 전환기의 한국지리[남계 형기주교수 화갑기년논집], 657-698.
  9. 南宮熢 1997, '萬頃江 流域의 開墾過程과 聚落形成發達에 관한 硏究'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7-87
  10. 柳濟憲, 1979, '農村景觀의 形態的 硏究 - 驪州?利用 地方을 中心으로-,'地理學論叢, 6, 96-115
  11. 박영한 . 안영진(역), 1998, 사회지리학, 법문사, 서울
  12. Maier, j. et al., 1977, Soztalgeograpbie, Georg Westermann Verlag, Braunschweig
  13. 朴鍾敍, 1988, 韓國 寺下村의 構造와 變貌,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14. 안영진(역), 2003, 사회공간론, 한울, 서울
  15. Werlin, B., 2000, Sozialgeographie; Verlang Paul Haupt
  16. 楊普景, 1980, '半月面 四里 同族部落에 대한 硏究 - 起源과 發達科程을 中心으로-' 地理學論叢, 7, 29-52
  17. 예경희, 1984, 한국도시의 비공식집단연구: 사회지리적 접근, 대학사, 서울
  18. 吳洪晳, 1969, '濟州道의 聚落立地에 關한 生理學的 硏究,' 地理學(대한지리학회지), 4, 41-54
  19. 玉漢錫, 1986, '嶺西太白山地에 있어서 民族의 移動과 村落의 形成에 관한 硏究' 地理學(대한지리학회지), 34, 30-46
  20. 원학희, 1978, '구한말 서울의 거주공간형태,' 地理學叢, 6, 25-32
  21. 李玗鏞, 1994, '氏族集團間 社會的 關係의 變化와 村落의 空間構造 - 忠南 靑陽都 美洞 同族村의 事例硏究-,' 地理敎育論集, 31, 27-62
  22. 이광규, 1992, 가족과 친족, 일조각, 서울
  23. 李文鍾, 1984, '同族村의 人口移動과 村落의 變貌' 地理學 (대한지리학회지), 19(2), 77-89
  24. 李文鍾, 1988, 泰安半島의 村落形成에 관한 硏究(서울대 박사학위논문), 地理學論叢, 별호6
  25. 李文鍾, 1996, '村落地理學 50年(1945-1995)의 回顧와 展望,' 대한지리학회지, 31(2), 213-254
  26. 李文鍾, 1998, '村落,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그 구조적 이해와 촌락 조사를 위한 시론적 연구,' 지역개발연구논총, 7, 1-16
  27. 이문종, 2004, '禮山 古德의 驪州李氏鍵 -門과 實學의 地域化,' 문화역사지리, 16(2), 83-97
  28. 李恩淑, 1982, '都市 再開發과 住民의 態度에 관한 硏究- 서울 母岳洞의 境過 -,' 地理學(대한지리학회지), 17(1), 55-78
  29. 李俊善, 1982, '林野開拓에 의한 村落形成過程 - 江陵市 南部 金光坪 一帶의 事例硏究 -,' 論文集[관동대 인문 . 사회과학편], 10, 469-484.
  30. 李俊善, 1993, '韓國 同族村의 時 . 空間的 展開,' 전환기의 한국지리(남계 형기주교수 화갑기념논집), 711-738
  31. 이한방, 1987, '농촌지역 통혼권의 구조와 변화과정,' 地理學論叢, 14, 165-183
  32. 張保雄, 1983, '全南地方 同族部落의 構造와 機能,' 地理學 (대한지리학회지), 27, 15-30
  33. 田京淑, 1992, '光州市 幼兒敎育機關의 適正 立地-分配에 관한 硏究,' 地理學(대한지리학회지), 27(3), 208-231
  34. 全種漢, 1995, '村落의 空間的 擴大過程에 관한 硏究,' 문화역사지리, 5, 53-63
  35. 全種漢, 2002a, 宗族集團의 居住地 移動과 地域化過程,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36. 전종한, 2002b, '宗族集團의 地域化過程에 관한 연구(I): 生態的 定看段階,' 史學硏究, 67, 131-170
  37. 전종한, 2002c, '역사지리학 연구의 古典的 傳統과 새로운 路程 - 문화적 전환에서 사회적 전환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5(2), 학연문화사, 서울, 215-252
  38. 전종한, 2004, '사족집단의 사회관계망과 촌락권 형성과 정: 烏樓山의 溪居地 靑蘿洞을 사례로,' 문화역사 지리, 16(2), 36-52
  39. 鄭부매 . 崔基燁, 1994, '서울 근교 전통농촌의 변화,' 대한 지리학회지, 29(3), 340-359
  40. 鄭惠打 . 崔基燁, 1990, '동족촌의 지역화과정과 공간구성,' 지리학연구, 16, 17-44
  41. 崔基燁, 1982, '景觀的 表現과 空間認識,' 地理學叢, 10, 210-221
  42. 崔基燁, 1983, '場所의 理解와 象徵的 空間의 解釋,' 地理學論叢, 10, 151-163
  43. 崔基燁, 1986, 韓國村落의 地域的 展開過程에 관한 硏究(경희대 박사학위논문), 지리학연구보고, 14
  44. 崔基燁, 1993, '景觀體驗과 場所의 社會化,' 전환기의 한국 지리(남계 형기주교수 화갑기념논문집), 교학사, 서울, 71-94
  45. 최기엽, 1996, '村落地理學 50年의 回顧와 展望(이문종)에 대한 토론문,' 대한지리학회지, 31(2), 253-254
  46. 崔永俊 . 孫宗均, 1990, '同族村의 文化地理的 硏究 - 蔚州郡 上北面 池內里의 事例硏究-,' 문화역사지리, 2, 19-37
  47. 최운식 . 배미애, 1987, '한국의 범죄공간,' 地理學論叢, 14, 321-329
  48. 허우긍, 1991, '서울의 通勤과 居住地 選擇,' 地理學(대한 지리학회지), 26(1), 46-61
  49. 洪賢玉 . 崔基燁, 1985, '南陽洪氏 同族社會集團의 地域化 過程,' 地理學硏究, 10, 383-424
  50. 今本曄, 2000, '村落內小社會集團の成立と基礎地域の社會的紐帶-滋賀縣神崎郡川竝を事例として-,' 人文地理, 52(2), 63-79
  51. 小林和美(고바야시 카즈미), 2005, '일본의' 이에' (家)와 '무라' (村),' 충남대 마을공동체연구단 콜로키엄 자료집(2005.4.22), 1-9
  52. 堤硏二, 1992, 'ドイツ社會地理學の-系譜-社會地理學 論爭の周邊-,' 人文地理, 44(2), 44-65
  53. Chisolm, M., 1962, Rural Settlement and Land Use, Hutchinson, London
  54. Chivallon, C., 2003, A vision of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in France, Social & Cultural Geography, 4(3), 401-409 https://doi.org/10.1080/14649360309079
  55. Claval, P., 2005, Reading the rural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9-19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14
  56. Cloke, P., et al., 1994, Writing the Rural' Five Cultural Geographies, Paul Chapman Publishing Ltd., London
  57. Cloke, P. and Little, J., 1990, The Rural State? Limits to Planning in Rur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58. Demeritt, D., 2002, What is the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 A typology and sympathetic critiqu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6(6), 767-790 https://doi.org/10.1191/0309132502ph402oa
  59. Giddens, A, 1984,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Polity Press, Cambridge
  60. Giddens, A., 1985, Time, Space and Regionalisation, in Gregory, D. and Urry J.(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Macmillan Publishers, 265-295
  61. Halfacree, K., 1993, Locality and social representation: space, discourse and alternative definitions of the rural, Journal of Rural Studies, 9, 1-15 https://doi.org/10.1016/0743-0167(93)90002-2
  62. Holt-Jensen, A., 1981, Geography: Its History and Concepts, Harper & Low, London
  63. Houston, J. M., 1953, A Social Geography of Europe, Gerald Duckworth, London
  64. James, P.E. et al., 1981, All Possible Worlds, John Wiley & Sons, New York
  65. Jones, O., 1995, Lay discourses of the rural: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rural studies, Journal of Rural Studies, 11(1), 35-49 https://doi.org/10.1016/0743-0167(94)00057-G
  66. Little, J., 1999, Otherness, representation and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it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3(3), 437-442
  67. Little, J., and Leyshon, M., 2003, Embodied rural geographies: developing research agenda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7(3), 257-272 https://doi.org/10.1191/0309132503ph427oa
  68. Marsden, T., Whatmore, S. and Munton, R.J.C., 1987, Uneven development and the restructuring process in British agriculture: a preliminary exploration, Journal of Rural Studies, 3, 297-308 https://doi.org/10.1016/0743-0167(87)90049-0
  69. Murdoch, J. and Pratt. A., 1993, Rural Studies: modernism, postmodernism and the 'post rural', Journal of Rural Studies, 9, 411-427 https://doi.org/10.1016/0743-0167(93)90053-M
  70. Newby, H., 1986, Locality and rurality: the restructuring of rural social relations, Regional Studies, 20, 209-216 https://doi.org/10.1080/09595238600185191
  71. O'Rourke, E., 2005, Socio-natural interaction and landscape dynamics in the Burren, Ire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69-83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15
  72. Palang, H., et al., 2005, Rural landscape: past processed and future strateg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3-8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01
  73. Phillips, M., 1998, The Restructuring of Social Imaginations in Rural Geography, Journal of Rural Studies, 14(2), 126-130
  74. Philo, C., 1991, Introduction, acknowledgements and brief thoughts on older words and older worlds, Philo, C.(ed.), New Words and New Worlds: Reconceptual-ising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Study Group, Lempeter, UK, 1-13
  75. Philo, C., 1993, Postmodem rural geography? A reply to Murdoch and Pratt, Journal of Rural Studies, 9(4), 429-436 https://doi.org/10.1016/0743-0167(93)90054-N
  76. Philo, C., 1994, History, geography and the 'Still greater mystery' of historical geography, in Gregory, D, Martin, R. and Smith, G.(eds) Human Geography, Macmillan, London, 252-281
  77. Pratt, A., 1996,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rural geographies, Ecumene, 3
  78. Urry, J., 1984, Capitalist restructuring, recomposition and the regions, in Bradley, T. and Lowe, P.(eds), Locality and Rurality: Economy and Society in Rural Region GeoBooks, Norwich, 45-64
  79. Wright, S., 1992, Image and anlysis: new directions in cummunity studies, in Short, B.(ed), The Rural Commu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9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