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가게 이용자의 환경의식에 따른 녹색가게 이용 실태와 의복 태도에 관한 연구

Attitudes Inward Clothing and Green Store Usage, Followed by Green Store User's Consciousness of the Environment

  • Seok Hye J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hee Univ.) ;
  • Kim In Su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hee Univ.)
  • 발행 : 2005.06.01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the second-hand clothing usage of those consumers who actively purchase used clothing through a clothing swap at a used clothing market.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weか the subjects being those with experience of buying second-hand cloth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group of higher environmental awareness differed from the group with low environmental awareness in terms of donating or swapping clothing at a green store or in terms of discontinuing the wearing of used clothing bought from a green store. 2. The higher environmental awareness group valued fashion, status symbols and the alignment with others while the group with low environmental awareness valued comfort and economy more than those with the higher environmental awareness. 3. It was discovered that environmental awarenes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were interrel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봉애, 강이주(1995). 아동의 환경의식과 처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2), 35-67
  2. 김병미, 이재명(1997). 착용하지 않는 의복의 처리 실태에 관한 조사 -환경 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2), 21-32
  3. 김시월, 이영숙, 이혜임, 권오정, 이진영(1998). 소비 생활과 재활용(1) -의생활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9), 107-125
  4. 김용덕(1995). 소비자의 환경의식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용숙(1995). 의류 전제품 전과정 관계자의 환경의식과 환경 보존 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용숙, 신상옥(1998). 주부들의 환경 보전을 위한 의생활 행동. 복식, 39, 271-281
  7. 김인숙, 석혜정(2004). 녹색가게 이용자의 의복 재사용 실태와 의복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88-1099
  8. 노남숙(1993). 환경 관리 지식 인지도와 환경 관리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영래, 김시월(2002). 소비자의 환경의식, 재활용의식과 재활용행동에 관한 연구 -미혼취업여성의 사장의복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 165-178
  10. 노정구(1996). 녹색 소비자의 특성 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8, 77-102
  11. 녹색 가게. 자료 검색일 2004.2.12, 자료 출처 http//www.greenshop.or.kr
  12. 도시 근로자 연평균 소득.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3. 7. 27, 자료출처 http//www.nso.go.kr
  13. 박광희(1998). 의복 처분 행동에 관한 연구 -환경보존적 태도, 행동, 정보 접촉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5), 47-58
  14. 박성연(1998). 체계적 분석의 틀을 이용한 한국 녹색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12(3), 281-301
  15. 박운아, 이기춘(1995). 환경의식적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199-212
  16. 박운아, 이기춘(1997).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관련 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5), 221-238
  17. 박정혜, 이선재(2002). 추구 의복 이미지와 의복 태도에 따른 색조 화장품 선호도 연구. 복식, 52(7), 87-102
  18. 박혜선, 김화순(1998). 의복 태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2), 279-289
  19. 박화순, 서영숙(1998). 소비자의 환경의식과 의생활 행동과의 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33(10), 79-88
  20. 서정희(1986). 환경 문제 측면에서 본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창희, 정순희(2004). 환경상품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55-64
  22. 오연옥, 송말희, 한정화, 황경애(1995). 환경보전에 관한 인지와 관리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3(1), 45-60
  23. 이승신, 이혜임, 류미현(1993). 환경보전을 위한 소비자의 능력. 소비자학연구, 4(2), 73-96
  24. 이춘희(1995). 소비자의 환경문제와 관련된 의복 관리 행동과 의류 자원 재활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경혜(1996). 사회책임적 의류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재활용 용어 사전. 자료검색일 2003, 5. 27, 자료 출처 http//www.me.go.kr
  27. 최남숙(1994).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정보전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홍기남(1992). 생활 환경 문제에 관한 소비자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Contantini, E., & K. Hanf (1972). Enviornmental Concern at Lake Tahoe; A Study of Elite Perception, Backgroungs and Attitudes. Environment and Behavior, 4, 209-242 https://doi.org/10.1177/001391657200400204
  30. Henion, Karl E. (1972). The Effect 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ing Research, 9, 10-14 https://doi.org/10.2307/3149598
  31. Shim, S. (1995). Environmentalism and Consumer: Clothing Disposition Patterns. Clothing and Textiles Resercah Journal, 13(1), 3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