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I -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s I - Centering on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Observing and Analytical framwork-

  • 발행 : 2005.06.01

초록

최근 수업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수업에서 '실제로 하는 일'에 초점을 두는 교실 수업 중심의 연구(Classroom Centered Research)로 전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이 어떠한 조직과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으로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정 교과 수업의 관찰과 분석의 관점을 명료화하였다. 즉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가정 교과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가정 교과 고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스스로 분석${\cdot}$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 관찰 대상을 명료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 수업 조직의 전체적인 윤곽을 이해하고 수업 요소를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수업의 계획과 조직 단계, 수업의 실행 단계. 수업의 평가 단계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업 요소를 규정하기 위해 수업 목표의 제시, 수업 활동의 구조, 교과 내용의 전달, 질문의 활용, 피드백의 제공, 학습 기회와 환경의 제공, 학습 동기 유발, 수업 평가의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등 9개 요소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이나 동료의 수업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수업 관찰의 범주와 실제 가정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 요소를 상세화하여 가정 교과 수업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hecklist for Observing and Analytical Framwork that assesses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room teaching which is the cor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clarifying the objectives of observing the classroom activities, it would be effective to understand the overall outline of the home economics instructions as well as to define the elements of the classroom work ; hence, the classroom work has been modularized in several stages, namely, planning/organiz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stages are divided into nine elements of the classroom work in general : (1) Presenting the study objective, (2) Structuring classroom activities, (3) Teaching the content, (4) Question-and-answers (5) Feedback the to the students' responses, (6) Offering learning opportunities, (7) Stimulating the students' interest, (8) Evaluation, (9) Applying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