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rough interne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dot}$고등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의복 구매 행동 연구

  • Kweon Li-R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Mi-Jeo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hye-J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Yu Nan-Soo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권리라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김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이혜자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유난숙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eachers to develop consumer's guide of internet shopp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urveying their Purchase realities,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nd clothing purchase attitudes when they use internet shopping mall. The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Daegu, Kyunggi, Chungbuk, Chungnam, Kyungbuk, and Kyungnam November, 2004.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lothing items which were bought in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shirts. shoes, pants, bags in order and they were below $20,000\~30,000$ won. Main payment method used was sending money to seller's account. Second, clothing purchase satisfaction degree was comparatively high but the satisfaction degree for the compensation policy was low. If they had any claims for the products. they were likely to behave more actively than passively. Third. returned items were shirts, pants, shoes in order which are the same as purchasing items and they were due to the siz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s recognised by computer screen and the real products. The $89.0\%$ of the subjects who have purchased clothing through internet expressed high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future through internet. Forth the degree of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hopping concerned with clothing purchase was high in the factor of 'convenience of shopping', especially they thought that the purchase through internet had the advantage of varieties and pr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1) in the experience of purchase and clothing purchase through internet according to their regions. school years, allowances per month, (2) in the purchased items through internet according to only their sexes, and (3) in the desired Purchase items through internet according to school years, their sexes. regions. The more frequentl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 internet, the more goods they purchase through internet, especially the portion of the purchased clothing is getting bigger year by year. This suggests that we need to develope well-organized programs to teach good consumer's attitude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en they purchase through internet.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사용의 주 이용 연령인 중${\cdot}$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쇼핑을 이용한 구매 실태, 인터넷 쇼핑을 이용한 의복 구매 행동m 의복 구매 태도를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에 대한 중${\cdot}$고등학생의 올바른 소비자 교육 자료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2004년 11월에 서울, 대구,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지역의 중${\cdot}$고등학생들에게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첫째, 인터넷에서 구입한 의복 품목은 티셔츠 및 남방, 신발 청바지 및 캐쥬얼 하의, 가방류 순으로 $2\~3$만원 미만의 중저가 제품을 주로 구입하였다. 주된 결제 수단은 무통장 입금이었다. 둘째, 의복 구매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제품에 대한 보상 만족도는 낮았다. 제품이 민족하지 못한 경운 적극적인 불평 행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반품 품목은 티셔츠 및 남방, 청바지 및 캐주얼 하의, 신발류로 구매 품목과 같은 순이었고, 반품 요인은 사이즈가 맞지 않거나 컴퓨터 화면과 실제 상품과의 차이로 인한 것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89.0\%$가 인터넷으로 재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의복구매와 관련된 인터넷 쇼핑에 대한 태도는 쇼핑의 편이성 항목에서 높았으며 특히. 제품의 다양성과 가격 경쟁 면에서 장점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라 의복 구매 행동과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구매 경험과 의복 구매 경험 유무에서는 학년 지역, 월용돈 액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매한 의복 품목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cdot}$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기회가 많아졌고 특히, 의류 제품 구매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대한 합리적인 구매 행동을 위하여 체계적인 소비자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