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and Hair Style Attitude as Related to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 Ha Chu-y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Younsei University) ;
  • Koh Ae 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Younsei University) ;
  • Chung Mi Sil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하주연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 고애란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 정미실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and hair style attitud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90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1) Three factors of body images were self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itness orientation. Five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clothing interest, clothing exhibition, social approval, psychological dependence on clothing and fashion leadership. And three factors of hair style attitudes were interest in hair style, individuality in hair style and dependency on hair designer. 2)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clothing behavior, fashion/clothing interest was explained by appearance orientation and fitness orientation, and clothing exhibition by sensation seeking and appearance orientation, and social approval by appearance orientation,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body cathexis, and fashion leadership by appearance orientation, fitness orientation and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clothing conformity to the self-entertainer by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and fitness orientation, and appearance related delinquency by sensation seeking, appearance orientation, fitness orientation, self appearance evaluation. 3)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hair style attitudes, interest in hair style was explained by the factors such as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fitness orientation, and body cathexis, and individuality in hair style by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and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dependency on hair designer by body cathexi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 (1995). 의상심리리학. 서울: 교문사
  2.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 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3.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정 및 우울과 비 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29-43
  4. 김경희, 김미숙. (1997). 유행선도력에 따른 여고생의 구매전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487-501
  5. 김경희, 정성지. (2000). 중. 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 태도와의 관련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3), 401-411
  6. 김명희. (2000). 헤어스타일모방의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TV드라마 탤런트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병미. (1975).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3(3), 233-247
  8. 김복숙. (1999). 여성 헤어스타일의 인상효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양휴. (1996). 헤어스타일의 선호와 성격간의 상관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희숙 (1995). 20세기 한국 여성 Hair Style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47-61
  11. 김희창 (1998). 청소년기 여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또래집단 수용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 원석사학위 논문
  12. 문선정. (1994). 연예인의 유행스타일 선호도에 따른 유행선도력 및 의복태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변기혜. (1983).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빈주은. (1999). 청소년기의 성과 체격조건에 따른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5. 신정혜 (2000). TV의상이 신세대의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타마케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심소연, 강혜원. (1983.).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과시 및 자율 욕구와의 상관연구.-의복과시성, 유행, 교복자율화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7(2), 105-111
  17. 안애영. (1987). 청소년기 여고생의 의복행동 및 흥미도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유명의. (1992). 통학복 유형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광주지역 남.여 고등학생을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0(1), 11-24
  19. 이가영. (1997). 신세대 의복행동에 나타난 TV외 영향에 관 한 연구.-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미숙. (2000).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 학원박사학위 논문
  21. 이수경 . (1997).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자기효능감 및 감각추구성향과의 관련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연희. (1996). 유행 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상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은영. (1985).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24. 최선형. (1987). 유행선도자의 특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1(3), 15-24
  25. 최혜선. (1981). 의복행동과 사회적 안정감-불안감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허정아. (1997). 청소년의 일탈성향과 의복행동과의 관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홍혜은. (1999). 청소넌의 TV 미디어스타에 대한 의복 동조 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서울시내 여자 중 .고등학생 을 중심으로-.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홍희숙. (1997). 신세대 특성의 지향과 의류광고 관여 유행에 대한 유행의사선도자와 추종자 집단간차이. 대한가정학회지, 35(3), 63-75
  29. Cash, T. E, Winstead, B. w., & Janda, L. H. (1986). The great american shape-up: Body image survey report. Psychology Today, 20(4),30-37
  30. Cash, T. F. (1994). Body image attitudes: Evaluation, investment, and affect. Perceptual and Motor Skill, 78, 1168-1170 https://doi.org/10.2466/pms.1994.78.3c.1168
  31. Creekmore, A. M. (1971). Method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 project, No. 783. Michigan State University
  32. Darden, L. A. (1975). Personality correlates of clothing interest for a group to non-incarcerated and incarcerated women ages 18 to 30.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33. Drake, M. F., & Ford, I. A. (1979). Adolescent clothing and adjustment.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7(5), 283-291 https://doi.org/10.1177/1077727X7900700502
  34. Hom, M. J., & Gure!,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35. Hurlock, E. B. (1978). Development Psychology. New Delhi: Tata Mcgraw-Hill Company
  36.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2nd ed.). New York: Macmillan
  37. Mehrabian, A., &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The Me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8. Wiliams, M. C., & Eicher, J. B. (1966). Teen-agers' appearance and social acceptance. Journal of Home Economics, 58(6), 457-461
  39. Zuckerman, M. (1979).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level ofarousal. Hillsdale, N. J.: Lawrence Erlbaum
  40. Zuckerman, M., & Link. K.(1968). Construct validity for the Sensations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2, 420-426 https://doi.org/10.1037/h0026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