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성 애착 장애의 치료

TREATMENT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이혜련 (한국 아동 청소년 정신과의원)
  • Lee, He-Len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
  • 발행 : 2004.12.31

초록

반응성 애착 장애에 관한 미국과 영국으로부터의 대부분 논문들은 국외에서 입양한 탈억제형(Disinhibited Type) 반응성 애착장애를 보고하였다. 터키와 한국에서만 반응성 애착장애의 억제형(Inhibited Type) 아동들에 대한 보고를 하고 있는데 대부분 친부모에 의해 양육되고 있으며 그들의 증세는 자폐장애와 매우 유사하다.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특히 억제형의 치료에 대한 논문은 매우 드문 상태이기 때문에 저자는 1987년부터 한국의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들을 치료해 온 경험을 이 논문에 자세히 기술하였다. 반응성 애착장애 환자와 그 부모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중요한 영역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1)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에게 치료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2)개별 놀이치료, 엄마 놀이치료, 형제 놀이치료, 또래 놀이치료, 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그 엄마와의 사이에 애착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3) 언어치료, 인지치료, 치료교육등을 통하여 뒤진 발달을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이 치료방법은 미국이나 영국을 포함한 서구에서의 다른 치료 방법보다 우리나라 환자들에게 좀더 쉽게 좀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st articles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reported Disinhibited Type children adopted from other countries. Reports from only Turkey and Korea focused on Inhibited Type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ren whom raised by their own parents and whose symptoms are very similar to Autistic Disorder. Since articles of treatment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especially for Inhibited Type are very rare, this article informed the author's experiences of treatment for Korean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ren since 1987. To treat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patients and their parents, three important areas must be included : 1) to make a therapeutic environment for a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 2) to make an attachment between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 and his/her mother through individual play therapy, filial therapy, and group therapy with sibling or peer, 3) to catch up developmental delay by speech therapy, cognitive therapy and therapeutic education. This treatment methods can be more easily and more effectively applied to Korean patients than other methods from western countries including USA or Engla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