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INGLE, SEVERE TRAUMA

심한 정신적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대한 예비연구

  • Eon, So-Yo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ong, Won-W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Oh, Kyung-Ja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Choi, Eui-Gy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m, Eun-Ji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n, Yee-Ji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엄소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송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오경자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 최의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심은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신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troduce a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for the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model on the changes in coping style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family members, and in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by families and depressive symptoms of patients. Methods:Nine preschool children, 3-5 years old, experiencing physical injuries caused by attack from a psychotic patient at kindergarten, were evaluated for psychological assessments;Intelligence test, MSSB(MacArthur Story-Stem Battery), H-T-P test(House-Tree-Person test). And their parents completed rating scale,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about children’s psychological conditions). Results:With respects to the contents and emotional reactions of MSSB, 9 preschool children showed generally high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voidance, aggression, probably related to the traumatic experiences. Even though children couldn't verbally report directly about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 both MSSB, structured play narrative assessment tool, and HPT, free drawing and association test, they demonstrated psychiatric problems through reenactment plays, regardless of clinical diagnoses. Conclusion:Present study allowed us the chance to see beyond the outer pathological behaviors of PTSD in preschool children, through deeper evaluations of their mental representation. These preliminary data suggest deep understanding of internal representation would be of help for thorough evaluations and treatment plan for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evere trauma.

연구목적:아동기에 경험한 심각한 정신적 외상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증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심리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신적 외상은 학령전기 아동의 정신적 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후 인격형성에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9명의 학령전기 아동들의 심리적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이들의 정신적 문제를 진단적 범주 차원을 넘어 내면의 심리적 차원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방 법:유치원 점심시간에 침입한 정신질환자에게 칼로 심한 신체적 상해를 입은 동일한 한 차례의 심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만 $3{\sim}5$세 아동 9명(남아 6명, 여아 3명)을 대상으로, 사고 발생 1개월 경과 후 신체적 상해를 치료한 시점에서 심리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는 부모 면담, 아동에 대한 정신의학적 면담 및 관찰, 아동에 대한 심리평가(지능검사, House-Tree-Person test;HTP, MacArthur Stem Story Battery;MSSB) 등이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반영하는 MSSB, HTP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9명의 아동은 모두 진단(5명이 PTSD 진단에 해당됨)과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외상 경험과 관련되어 보이는 높은 불안감, 우울감, 위축과 회피 등의 감정 반응을 주로 나타내었는데, 이런 반응들은 부모 보고에 의한 평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병원 치료에 대한 공포, 사고에 대한 재현, 공격적 주제, 양육자와의 이별 등의 내용이 아동의 그림이나 이야기 속에서 자주 나타났으며 이런 내용은 직접적 질문이나 대화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들은 PTSD 진단 여부와 관계없이, 전반적 정신적 표상으로 외상과 관련된 부정적 정서 경험과 사고 내용을 보였다. 따라서 향 후 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학령전기 아동들의 경우 PTSD 증상 뿐 아니라 사고로 야기된 부정적 정신적 표상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