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Authoring Tool for Distance Education of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의 원격교육을 위한 저작도구의 개발

  • Kim, Chi-Su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im, Jae-Hyeon (Dept. of Computer Multimedia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치수 (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임재현 (공주대학교 컴퓨터멀티미디어 공학과)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VU, which enables teachers effectively to construct self-page on the screen, to reduce the size of file for teaching, and to correct many different kinds of event which was already made in the previous. The instrument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is Editor is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which is object-oriented methodology. The Author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named FVU. The first page which is needed in class can be constructed by using VUEditor in FVU. Using VUEditor can get Instructional Syllabus exported into VUAuthor through Vector-transformation. Through this procedure, the size of image file comes to be reduced into forming low band width, which results in solving the problem of network traffic. Also, Instructor can create image, shape and text, and delete and correct errors or mistakes which make in the course of constructing materials for teaching. In conclusion, this VUEditor enables program designer to construct the first page, even without using such applied program as Image Tool and Power Point. This VUEditor makes instructor to make some contents for teaching easily.

본 논문은 자체 에디터가 포함된 벡터 기반의 원격교육시스템(FVU)을 개발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원격교육 매체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를 만들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ML을 이용하여 저작도구를 설계하였으며 FVU라 명명하였다. FVU의 VUEditor에서는 강의에 필요한 첫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강의안은 Vector변환을 통해서 VUAuthor로 익스포트(Export)함으로써 파일 사이즈를 감소시키며, 낮은 대역폭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교수자는 VUEditor에서 이미지 삽입, 도형 그리기, 텍스트 입력, 지우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VUAuthor에서 교재 제작 과정 중 잘못 그려진 선, 도형 등을 수정할 수도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설계는 결과적으로 이미지 툴이나 파워포인트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없어도 강의에 필요한 첫화면을 VUEditor 자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수자의 컨텐츠 제작에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결과 파일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유비쿼터스 무선 환경에서의 원격교육에 적합하도록 네트워크 트래픽의 문제를 다소 해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