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투고 : 2004.11.09
  • 발행 : 2004.11.30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과정에서 부모자녀관계가 어떠한 심리적 역동을 갖는가에 대한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부모자녀관계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 성취압력, 자녀에 대한 기대, 부모에 대한 죄송함과 존경심 지각을 포함했다. 이러한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심리특성으로서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 성취동기, 그리고 행동특성으로서 공부시간과 학업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동시에 학업성취과정에서 과거의 성취도가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에 대해서도 종단자료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1차 표집대상은 2개 초등학교 6학년 전체 961명이었으며, 그들이 중학교 1학년 시기가 되었을 때 7개 중학교에 분산된 856명이 2차 표집되었다. 그들이 중학교 3학년이 되었을 때 830명(남 411명, 여 419명)이 3차 표집되었고, 3차 표집대상 학생의 부모에게도 질문지를 실시하여 아버지 722명과 어머니 767명이 표집되었다. 3차 표집대상 중에서 학생과 아버지 어머니 자료가 모두 수집된 694명의 자료가 이 연구를 위한 최종분석대상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거의 학업성취도는 현재의 학업성적을 결정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 공부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2) 부모에 대한 죄송함은 성취동기를 높였으며, 성취동기는 공부시간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었다. 3) 부모에 대한 존경심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을 증진했으며, 높아진 효능감은 학업성적을 향상시켰다. 4)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자녀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증진했으며, 부모의 성취압력은 성취동기를 높였다. 5)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학업성적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6)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은 학업성적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과거 학업성취가 현재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예언변인이며, 부모자녀관계와 자기조절학습효능감도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longitudinally influences that parents have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In terms of parents-child relationship, the following variables are examin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parental expectation, sense of indebtedness to parents, and respect for parents. For adolescents functioning, the following variables are examined: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ment motivation, study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phase of the longitudinal study, a total of 961 Grade 6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 the second phrase, a total of 856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en they were Grade 7. In the third phrase, a total of 830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en they were Grade 9. In the third phase, a matched sample of 722 fathers and 767 mothers of the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From the sample, 694 matched sample of adolescents, mothers, and fathers have been selected for the follow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indicate that adolescents' past academic grad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olescents'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 sense of indebtedness felt towards the parents increased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increased their studying time and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rd, adolescents' respect for their parents increased their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parental social support increased adolescents'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increased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Fifth, parental expec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Sixth,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had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st achievement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adolescents'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re also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 adolescents' achievement.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03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KRF-2003-041-B00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