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by Units from the Gender Equity Perspective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계량적 내용분석

  • Kim Mee Jeo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oo Tae M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미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
  • 유대명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rimary data for the revis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from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gender equity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342 illustrations and 1.368 individuals in 15 volume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by uni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improved compared to the textbooks of previous the 4th, 5th. and 6th curriculum periods in terms of sex proportion and sex compositions of individuals appeared in illustrations. However, sex roles. color of clothing and dressing styles. and background and description of individuals appeared in illustrations tends to not described as gender equitable.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re is a need for Department of Education to provide a specific manual and authorization standards for writing textbooks and constructing illustrations.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양성평등 실현이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나로 대두되어온 교육내용에서의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 $\ulcorner$기술 $\cdot$ 가정$\lrcorner$교과서의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삽화 속의 양성평등 분석을 통해 그 결과가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시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지닐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탈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기존에 집필된 중학교 기술 $\cdot$가정 교과서 중 일선 학교에서 활용도가 높은 각 학년별 5개 출판사. 총 15권을 대상으로 삽화를 단원별로 계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제 7차 교육과정중학교 가정 교과서에는 제 4차. 5차. 6차 교육과정에 비해 성별 분포와 성별 구성. 둥장인물간의 관계 측면에서는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삽화에는 남녀의 출현과 관련하여 성 역할이나 활동 배경, 활동 묘사, 옷의 색과 옷차림 둥에서 남녀불평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등장인물의 상황을 고려한 평등 $\cdot$불평등적인 면에서는 평등이 불평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삽화의 $40\%$가 불평등한 것으로 판단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교과서 집필 시 단원별로 저자가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단원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얻고. 단원별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심층 분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에 양성평등적인 관점을 관철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침과 검정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