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Labor Disputes in the Period of Restructuring: the Cases of Hyundai Motor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구조조정기 노사분쟁의 사례비교연구: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분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04.01.02
  • Accepted : 2004.03.29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two cases of labor disputes (Hyundai Motor in 1998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in 2002) in the period of restructuring, by applying the behavioral theory of labor negotiations as a comparative framework. The paper compares th backgrounds of the labor disputes, core issues, bargaining processes, and evolutionary patterns and consequences of the labor disputes at the two cases.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the two dispute cases, are strong mistrust and exclusive bargaining attitude between labor unions and management, little feasibility of contract zone in bargaining proposals by the two parties, heteronomous dispute resolution by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lack of learning effect gained from the experience of labor disputes. This comparative case study identifies that the confront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 at the firm level is re-produced by a regressive process of the following circulation: labor-management distrust $\rightarrow$ interest conflict in bargaining demand $\rightarrow$ exclusive bargaining attitude $\rightarrow$ the experience of antagonistic dispute $\rightarrow$ deepened distrust. In conclusion, four parties-labor unions, management, the government, and public press - are required to make much effort to replace the vicious circle of labor-management confrontation by a virtueous cycle of labor-management cooperation.

이 논문에서는 구조조정을 둘러싼 두 개 기업(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 사례를 중심으로 교섭행위론의 관점에서 그 발생 배경, 노사 쟁점과 교섭 과정, 그리고 분규양태 및 수습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에서는 정부 및 정치권의 개입을 통한 타율적인 분규사태 수습, 노사 상호간의 높은 불신과 배제적 교섭태도, 합의도출이 불가능한 노사의 교섭요구안, 그리고 노사분규의 사후적인 학습효과 결여 등과 같은 특징적 공통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사례비교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 차원의 노사관계가 노사불신 $\rightarrow$ 교섭요구의 이해상충 $\rightarrow$ 배제적인 교섭태도 $\rightarrow$ 적대적 분쟁 경험으로 이어지는 퇴행적인 순환 과정을 통해 노사갈등 구도를 확대 고착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노사관계 혁신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 노사갈등이 확대재생산되는 악순환을 노사협력의 선순환으로 대체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노 사 정, 그리고 언론에 의해 기울여져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