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간내 담즙 정체증의 예후 인자: 비가족성, 비대사성, 비증후성 담즙 정체증

Predictive Factors for Prognosis of Neonatal Intrahepatic Cholestasis : Non-Familial, Non-Metabolic, Non-Syndromic Cholestasis

  • 김형석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창훈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김인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박재홍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Kim, Hyung Suc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 Hoo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 Ju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 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4.09.08
  • 심사 : 2004.09.23
  • 발행 : 2004.09.01

초록

목적: 신생아 간내 담즙 정체증을 일으키는 질환들은 임상적으로 감별이 용이하지 않으며,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병리 조직 검사, 혈청 생화학 검사, DISIDA 신티그래피 소견들과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7월부터 2002년 7월까지의 기간 중 부산대학병원 소아과에 신생아 담즙 정체증으로 내원한 생후 3개월 이내 신생아 및 영아 중 간내 담즙 정체증으로 진단된 32명을 대상으로, 진단 후 6개월 이전에 혈청 ALT치가 정상화 된 환아들을 A군으로, 진단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혈청 ALT치가 증가된 환아들을 B군으로 구분하고,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생화학 검사로는 혈청 ALT치, 총 빌리루빈, 직접형 빌리루빈, alkaline phosphatase의 최고치 등을 비교하였으며, 간 생검에 대한 분석은 담즙관의 증식, 문맥간 가교형성, 다핵 간세포, 간세포 부종, 담세관 마개 5가지 항목에 대한 조직 소견을 정도에 따라 임의로 1점부터 3점까지 점수화하여 조사하였고, DISIDA 신티그래피에서 담낭과 소장이 보인 시간을 두 군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신생아 간염이 29명, 신생아 간염과 간내 담도 부족증을 동반한 환아가 3명이였다. 간 생검 검사상 예후가 좋지 않은 군에서 담즙관 증식, 문맥간 가교 형성이 심하였으며, 다핵 간세포, 간세포 부종, 담세관 마개의 정도는 예후와 관련성이 없었다. 생화학 검사상 ALT의 최고치가 높은 군에서 예후가 좋지 못하였으며, DISIDA 신티그래피의 담낭과 소장이 보인 시간, 총 빌리루빈, 직접형 빌리루빈, alkaline phosphatase의 최고치는 예후와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신생아 간내 담즙 정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간 조직 검사상 담즙관 증식과 문맥간 가교 형성이 심하거나 혈청 ALT의 최고치가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므로 이들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 및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rognosis of neonates with cholestasis is not clear. Some factors, such as high peak bilirubin levels and liver histologic findings have been claimed to affect the prognosis adversely. Our study aims to define which factors influence the prognosis of neonatal intrahepatic cholestasis.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of the medical records were performed in 32 cases with neonatal intrahepatic cholestasis, who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5 to July 2002. Neonate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more or less than 6 months. The data, such as biochemical, histopathologic and radiologic findings,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Biochemical data included mean peak level of serum ALT,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Histologic parameters related to lobular architecture, fibrosis, inflammatory infiltration and degenerative features of hepatocytes were arbitrary estimated on a scale of 1 to 3. Results: There were 19 males and 13 females, whose mean age was 48 days (14~77 days). The peak serum ALT levels were higher in the poor outcome group. Ductular proliferation and portoportal bridging were more severe in the poor outcome group. But the degree of multinucleated hepatocytes, hepatocellular swelling and canalicular plug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ong-term outcome. The DISIDA scintigraphy by visualization time of gall bladder and intestine was not useful in predicting outcome of neonatal intrahepatic cholestasis. Conclusion: Neonates who have intrahepatic cholestasis with high serum ALT levels, severe ductular proliferation and portoportal bridging in the liver biopsy specimen should be carefully followed up because they may have a poor progn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