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Interest, Real Estate Prices and Monetary Policy

실질금리, 부동산가격과 통화정책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lation on real estate prices, particularl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sales and chonsei prices of housing, in an economy in which real interest rates are secularly declining due to the fall in capital productivity. When real interest rates fall, real estate prices rise relative to chonsei prices, and thus the well-known adverse effect of inflation, or the discrepancy between the value of financial assets (or chonsei principal) and the value of real assets (or real estate), is aggravated although the monetary authority maintains the same rate of inflation. This theoretical prediction can help explain the trend of the ratio of apartment sales prices to chonsei prices. That is, the stabilization of inflation relative to real interest rates appears to have contributed to the secular stabilization of this ratio in the 1990s, while the fall in real interest rates appears to have led to the rise of this ratio since 2001.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자본생산성이 하락하면서 성장률과 실질이자율이 하락하는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율이 부동산가격, 특히 주택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격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즉, 실질이자율이 하락할 경우 전세가격에 대비한 부동산의 매매가격은 상승하며, 따라서 자본생산성이 하락하면서 성장률 및 실질이자율이 하락할 경우에는, 통화당국이 동일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율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통상 인플레이션의 폐해로 거론되는 실물자산(부동산) 대비 금융자산(전세자금) 가치의 하락이라는 부작용이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는 자료추적이 가능한 1986년 이후 우리나라 주택의 매매 전세가격 비율의 변화추이를 설명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즉, 1990년대 이후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율의 하향안정은 매매 전세가격 비율을 안정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으로 보이며, 최근 2001년 이후 나타난 매매 전세가격 비율의 상승은 인플레이션 기대의 확산보다는 실질이자율의 하락에 의하여 주도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