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 윤영호 (국립암센터 삶의질향상연구과) ;
  • 이영선 (국립암센터 삶의질향상연구과) ;
  • 남소영 (국립암센터 삶의질향상연구과) ;
  • 채유미 (국립암센터 삶의질향상연구과) ;
  • 허대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 이소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 홍영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 김시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 이경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Yun, Young-Ho (Quality of Cancer Care Branch, National Cancer Center) ;
  • Rhee, Young-Sun (Quality of Cancer Care Branch, National Cancer Center) ;
  • Nm, So-Young (Quality of Cancer Care Branch, National Cancer Center) ;
  • Chae, Yu-Mie (Quality of Cancer Care Branch, National Cancer Center) ;
  • Heo, Dae-Se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o-Woo (Department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
  • Hong, You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Si-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Kyung-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발행 : 2004.07.03

초록

목적: 말기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지만 소비자인 일반 국민이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대한 조사가 없었다. 방법: 2004년 2월, 16개 시도의 20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시도별 인구분포에 의한 할당추출 인구구성비와 동일하게 대상자를 추출하였으며 전문조사기관의 면접원 30명에게 설문내용에 대해 교육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의 조간 선호하는 임종장소 및 그 이유, 무의미한 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호스피스 서비스 인식 및 이용의향, 그리고 국민들의 품위있는 죽음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환자의 입장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부담 주지 않음'(27.8%) 및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26.0%)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적인 임종장소는 응답자의 과반수(54.8%)가 자택을 선택했으며, 병원(28.0%), 호스피스 기관(7.9%), 요양원(6.5%) 순으로 나타났다. '무의미한 치료의 중단'에 응답자의 과반수인 51.7%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82.3%)가 '중단하는 것이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응답한 대상자의 59.4%가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말기 상황인 경우 응답자의 57.4%가 '호스피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79.6%가 '호스피스 서비스를 건강보험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전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0.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중 '말기 환자에 대한 재정지원'(29.8%),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보험인정'(16.5%), '바람직한 임종문화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15.9%)를 강조하였다. 결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를 통해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제도화를 위한 정책 방향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for the dying with dignity of terminal patients, no researches focused on the public attitudes. Methods: In February 2004, we sampled 1,055 persons over 20 years of age from the sixteen cities and local districts of Korea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and location. We conducted a telephone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the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Result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for the dying with dignity on the patients' views were 'removing burdens for other people' (27.8%). Over the half of the samples chose their home as a preference for place of death (54.8%). 82.3%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idea of withdrawing the medically futile life-sustaining treatment. Fifty seven percents of the answered public said that they intended to use the hospice service in case of terminal illness. Eighty percents thought that health care insurance should cover hospice service, and 80.9% gave positive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advance directives. Respondents emphasized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terminal patients' (29.8%), 'covering hospice service with health insurance' (16.5%), and 'th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for settlement of desirable dying culture and hospice service' (15.9%) a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government for the dying with dignity.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ignificant consensus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ystem for the dying with dignity of patients and reduction of the suffering for their families among the general publ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