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 적용에 의한 지하 골조공사 개선연구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derground Building Works through the VE

  • 발행 : 2004.06.01

초록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계획적인 원가절감에 의한 방법과 기능의 향상에 의한 방법 및 효율적인 추가 원가투입에 의하여 더 높은 기능 향상을 실현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건축공사에서 골조공사는 전체 공정 및 원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주요 공정으로서 철저한 공사관리 계획과 관리가 요구되는 부분으로서 생산 활동 및 공사 방식 선정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도심지 공사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공사의 비율을 감안하여 지하골조 공사의 성능개선에 초점을 두었다. 건축물의 지하골조공사에 있어 효과적인 공기 및 원가절감을 위하여 VE 기법을 검토하여 VE 프로세스와 분석차원을 모델링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물 지하골조공사의 VE 활용모델로서 기술대안 선정방식 수립의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os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should focus on the reasonable cost-down with same quality and function-enhancement with same cost for the value-added construction project delivery in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a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to affect the total cost and schedule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It means that the process has the possibility of project cost-down or quality-enhancement among the whole project life-cyc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underground structure of building project by increasing underground use ratio in the urba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nowadays. This research adopts VE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ost and time by process and analysis dimension modeling on the underground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on, and verifies it throughout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is the basic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derground building works through the value engineering method in construction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국. 김문한, 최적화거푸집공사를 위한 EXPERT SYSTEM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9(1) 1989. 4
  2. 김용일 외, 건축구조물의 기초형식 선정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아파트건축물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1), 1994.4
  3. 대림산업, 지식발표집(건축부문), 2003
  4. 오승준, 흙막이공사 공법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5. 주영규. 천성철, 지하구조물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보 접합부의 구조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2), 2003.2
  6. 전재열, 건축 설계초기단계에서 VE대상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2), 2003.2
  7. 차희성 이현수, 초기 공정계획 단계에서 시간과 성능을 고려한 최적 시공 대한 선정 방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2), 1997.12
  8. Angela Palmer, John Kelly, and Steven Male, Holistic Appraisal of Value Engineering in Construction in United States, J. Constr. Engrg. and Mgmt. 122, 324- 328, 1996
  9. Hyundai E&C, Value Engineering Study Report, 2000
  10. Matthew J. Liberatore, Bruce Pollack-Johnson, and Colleen A. Smith, Project Management in Construction: Software Use and Research Directions, J. Constr. Engrg. and Mgmt. 127, 101-107, 200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