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맹사성 <강호사시가>의 짜임새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Kanghosasiga' is the Ynsijo which has general unification of the content and having general unification is based. on the using one definite frame. although 'Kanghosasiga' used different subject matter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four season in forming one theme. The definite frame is divided into two frames, inner frame and outer frame. Outer frame is common in four works, and it represents the place in which the speaker lives(강호), speaker (이몸),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the king(군은), the condition of 'kangho' and speaker. And in this paper, the generative condition of phrases is so analyzed that the compression and the simplicity of expression are explained, and the purpose of generative phrases is so analyzed that satisfaction at life is represented. It is considered if it is possible to extended to '태평성대(the happy era)' in the social view. Inner frame is the detail structure of content of the work.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of the verses of four works have common structure. After analyzing each content, the characteristic of 'Kanghosasiga' was explained. The first of verses of 'Kanghosasiga' represent gusto of the four season. The second is constructed with 'the clause that functions as instruction' because 'speaker' that is the words that functions as index, and represents in detail gusto of the first. The third is connotative expression connected with the second. The third implies purpose that the writer try to gain private living with formal viewpoint. The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of 'Kanghosasiga' shows a process; 'introducing season' $\to$ 'gusto about season' $\to$ 'enjoying with season' $\to$ 'peace in mind'. The first of verses of 'Kanghosasiga' is the clue of the second. The second is the reaction of the first. The third has character as estimation of the forepart. The structure of the outer frame can be shown if the structure of the inner frame has '감군은‘(being grateful to king's grace). ultimate purpose of the writer is to praise king's administration.

이 논문은 <강호사시가>가 한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네 계절의 특징을 담고 있는 서로 다른 글감들을 사용하였지만, 내용의 일관된 통일성을 유지한 연시조이며, 이 통일성 유지는 하나의 일정한 틀을 사용한 데 근거하였음을 해명하려고 한 것이다. 그 일정한 틀은 겉틀과 속틀로 나누었다. 겉틀은 네 작품에 공통된 표현 부분이다. 그 내용은 '화자의 거처(강호)'-'화자(이 몸)'$\cdot$'화자와 임금의 관계(군은)' 및 '강호의 상태(강호에 (가)이 드니)', '화자의 상태(이 몸이 (라)히옴)'를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초장의 '강호에 (가)이 드니'를 구문의 생성 조건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표현의 압축과 간결함을 지적하고, 종장의 '역군은이샷다'를 구문의 생성 의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화자 개인 차원의 삶에 대한 만족을 표출한 것임을 설명하고, 이 삶의 만족을 사회적 차원의 태평성대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문제제기를 하였다. 속틀은 작품 내용의 세부 짜임이다. 이에 대해서는 네 작품을 초$\cdot$$\cdot$종장 각각으로 묶어 분석한 다음, 네 작품의 공유된 짜임을 설명하고, 각각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곁틀에서 다룬 <강호사시가>의 내용이 갖는 특성을 해명하였다. 네 작품의 초$\cdot$$\cdot$종장을 각각 하나로 묶어 종합 분석하기 위하여 지표기능과 제시기능을 설정하여 그 내용의 짜임을 설명하였다. 초장은 공통으로 네 계절의 흥취를 표현한 것이며, 중장은 지표기능 어휘인 '화자'가 생략되어 제시기능 구절만으로 이루어졌으며, 초장의 흥취를 행위나 상태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종장은 중장과 연결하여 함축적 표현이며,사적인 삶과 공적인 가치관(군신유의)의 관계에서 공적인 가치관으로 사적인 삶을 보장받으려는 의도를 내포한 것이다. 이를 종합하면, <강호사시가>의 속틀의 짜임은 '계절의 제시'$\to$'계절에 대한 발흥'$\to$'계절의 즐김 행위'$\to$'(심적$\cdot$신체적) 평안'으로 전개된다. 문맥의 흐름에서 초장은 중장의 단서가 되며, 중장은 초장에 대한 반응이며, 종장은 중장의 응축으로서 평가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속틀의 짜임에 '감군은'이 포함되면 곁틀의 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작자가 작품의 본지를 개인의 평안에 둔 것처럼 꾸몄으나, 본래의 발상은 임금의 치적(태평성대)을 송축하려는 것이라고 결론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