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llection of Atmospheric Sulfur Gases Using Tedlar Bag: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rrection Factors

테들러 백을 이용한 대기 중 황성분의 채취: 보정인자의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 Lim, Gye-Gyu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Safe Engineering, Hoseo Univeristy) ;
  • Kim, Ki-Hyu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임계규 (호서대학교 환경안전공학부)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황성분을 채취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인 테들러 백 방식의 채취와 관련된 오차요인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시료를 백과 백간에 이동시켜 주므로서, 백의 벽면을 통해 초래될 수 있는 성분별 손실율을 비교하였다. 상대습도 0 %, 실온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황화수소와 멀캡턴과 같은 성분들은 백과의 접촉이 일어나면서, 20 %에 가까운 손실율이 확인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이들에 비해 반응성이 높지 않은 DMS, DMDS와 같은 성분들도 10 %내외의 손실율이 확인되었다. 이들 성분의 정확한 정량을 위해서는 테들러 백의 흡착손실 등에 대한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습도나 온도와 같은 환경조건의 변화에 대한 고려도 동시에 수반되어야 할 것이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 이강웅, 1998, 서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적 황화합물의 배출과 순환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4 (3), 77-86
  2. 김기현, Hilton Swan, 양규승, 김지영, 손장호, 이강웅, 강창희, 2002,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대기 중 황화합물의 관측. 한국지구과학회지, 23 (5), 416-423
  3. 전선주, 허귀석, 1999, 캐니스터와 Tedlar-bag 시료채집법을 이용한 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측정. 한국대기환경학회, 15 (4), 417-428
  4. Delmas, R., Baudet, J., Servant, J., and Baziard, Y, 1980, Emissions and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in theair of the Tropical forest of the Ivory coast and of temperateregions in Fran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5, 4468-4474 https://doi.org/10.1029/JC085iC08p04468
  5. Kuster, w.c. and Goldan, P.D., 1987, Quantification of losses of gaseous sulfur compounds to enclosure wall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1, 810-815 https://doi.org/10.1021/es00162a013
  6. Wang, Y., Raihala, T.S., Jackman, A.P., and Stjohn, R., 1996, Use of Tedlar Bags in Voc Testing and Storage-Evidence of Significant Voc Loss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0 (10), 3115-3117 https://doi.org/10.1021/es950582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