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on Conceptual Change of Atmospheric Pressure in Middle School Students

수업방안이 중학생들의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김종희 (경상고등학교) ;
  • 배주현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용섭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상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 on the conceptual change of atmospheric pressu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concept of atmospheric pressur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n the present 7th Curriculum, classes were performed adopting classified Method A and Method 3. For Method A, the textbook is used to explain the concept in the view of weight. For Method B, the textbook is used to approach the concept in the views of molecular movement as well as of weight.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lasses in the thi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Busan, where they were divided into the Method A group and the Method B group. These study was carried out with pre-post on each of these classe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on the conceptual change of atmospheric pres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was displayed the average score of the Method B was showing a meaningful difference comparing to the Method A. Second, the effect on the conceptual change measured by verifying the score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s for each sub-scale three out of four conceptual factors,'the direction of atmospheric influence and the reason','the principle of atmospheric action' and 'the atmospheric changes by the temperature ri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reason',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But, the one left factor,'th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ressure by altitudes and the reason', displayed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The concept of atmospheric pressure is better defined as the pressure created by the movement of air particles, in the view of kinetic theory of gas, rather than explained by the notion of the weight of air.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과에서 제시된 대기압 개념을 분석하여 무게의 측면으로 대기압을 설명하는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수업방안 A)과 기체 분자운동과 무게의 양쪽 측면에서 설명하는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수업방안 B)의 두 가지 수업방안을 선정한 후 수업방안이 중학생들의 대기압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2개 학급씩 나누어 각각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때 수업 전-후에 나타나는 학업 성취도와 대기압의 개념변화를 조사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수업방안 B'가 '수업방안 A'에 비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는 개념 검사의 사후 점수를 각 하위척도별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념의 요소 4개 중 3개의 요소인 '대기압이 작용하는 원리'와·대기압이 작용하는 방향과 이유', '지표면의 온도 상승에 따른 기압 변화와 그 이유'에서는 개념 변화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도에 따른 대기압의 분포와 그 이유'에서는 개념 변화에 있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압 개념의 올바른 수업방안으로는 대기압을 기체 분자 운동론의 입장에서 정의하고 높이에 따른 대기업의 크기 분포는 공기의 무게로 정의한 것과 결과가 같게 나타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일회,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3, 중학교 과학 3. 교학사, 132-134
  2. 국동식, 1993, 대기압 개념에 대한 수업 전후의 이해 변화.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4 (2), 162-172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23-32
  4. 김상달, 김종희, 2003, 지구과학교육론. 만수출판사, 45-53
  5. 김옥현, 1993, 중등학생의 지구과학개념과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p
  6.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3, 중학교 과학 3. 블랙박스, 138-141
  7. 김찬종 외 5명, 2003, 고등학교 지구과학 Ⅱ 교과서. 천재 교육. 109 p
  8. 김학목, 1993,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p
  9.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3, 중학교 과학 3. 동화사, 138-142
  10. 박수경, 1998, ARCS전략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과학개념획득과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0 p
  11.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목창수, 김종권, 김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완섭, 김영산, 2003, 중학교 과학 3. 두산.
  12. 송주현, 2002, 과학 교과서에서 기압과 대기압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13
  13.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무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3, 중학교 과학 3. 지학사, 122-125
  14.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2003, 중학교 과학 3. 금성교과서, 136-138
  15. 이성호, 임청환, 1998, 공기의 성질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갈등상황 후 변화.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9, 512-523
  16. 이지희, 2002,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대기압에 관련된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17
  17. 이현숙, 2000, 중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방법 개선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p
  18.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3, 중학교 과학 3. 교학사, 126-130
  19.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3, 중학교 과학 3. 대일도서, 140-145
  20. Hewson, P.W. and Hewson, M.G., 1981, Effect of instruction using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conceptual change strategies on science learning (part Ⅱ): Analysis of instr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4th, Grossinger's in the Catskills, Ellenville, NY, April 5-8. ED 204 129
  21. Lump, A.T. and Staver, J.R., 1995, Peer 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 learning about photosynthesis. Journal of Reserch in Science Teaching, 32, 71-98 https://doi.org/10.1002/tea.3660320108
  22. Novick, S. and Nussbaum, J., 1981, Pupil's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 cross-age study. Science Education, 65 (2), 187-196 https://doi.org/10.1002/sce.3730650209
  23. Stavy, R. (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 (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24. Strike, K.A. (1987). Toward a coherent constructivism. In Novak, J.D. (ed.), Proceeding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Vol. 1, pp. 481-489).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July, 2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