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ruction Using Tibialis Tendon Allograft - A Short-Term Follow-Up Result -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 Woo, Jong-Ke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 Sang-H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w, Sog-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Park, Moon-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Jung, Kwang-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Gwak, Chang-Yo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Chae-Ch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우종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고상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류석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문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광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곽창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채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성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is tendon allograft from July 2002 to June 2003, thirty-one patients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Evaluations included were Lysholm knee score,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 mean Lysholm score was 88. Twenty-eight patients (90.3%) were good or exellent for the measured parameters. Twenty-seven patients(87.1%) was over 70 in IKDC subjective knee score. Thirty patients (96.8%) had 1+ firm end or negative Lachman test. 27 patients (87.1%) had a negative pivot shift. Thirty patients (96.8%) had less than 5mm difference of maximal manual difference by KT-1000 arthrometer. Twenty -nine patients (93.5%) were nearly normal or normal grade by 2000 IKDC knee examination.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failure and 1 case of infection.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double-stranded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resulted in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after short-term follow-up.

목적: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tibialis tendon)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예에 대하여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적 결과 등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1 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슬관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주관적 검사로 Lysholm knee score 및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객관적 검사로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 및 2000 IKDC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주관적 검사로 Lysholm score는 평균 띨점 이었고, 양호 이상은 28 fl(90.3%) 였다. IKDC subjective knee score는 70점 이상이 27 례(87 1%) 였다. 객관적 검사로 Lachman검사상 1+에 firmend-point 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이었고 pivot shift검사는 음성인 경우가 27 례(87 1%) 이었다.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는 평균 3.1 mm였고 5 mm이하의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였다. IKDC슬관절 검사 상 정상 혹은 거의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29례(93.5%) 였다. 최종 추시 결과 합병증으로 이식물 실패로 의심되는 경우가 1례, 감염 1례가 있었다. 결론: 두 겹의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단기 추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추후 중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