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대퇴골 터널 굴착시 경경골 접근법과 전내측통로 접근법의 비교

Comparision of Trans-Tibial and Anteromedial Portal Approach in Femoral Tunneling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손성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장윤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일권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경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Sohn, Sung-Ke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Chang, Yun-S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Chung, ll-Kw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 Kim, Kyung-Tae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 발행 : 2004.12.31

초록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대퇴골 터널의 등척점이 10시에서 10시 반 또는 1시 반에서 2시로 개념이 변함에 따라 전내측 통로를 이용한 대퇴골 터널 굴착방법의 유용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경경골 접근법과전내측 통로 접근법의 술기 및 술 후 방사선학적 계측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본 교실에서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100례 중 경경골 접근법을 이용한 50례(Croup 1) 및 전내측 통로 접근법을 이용한 50fii(Croup 11)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방법 및 술후 결과를 방사선 촬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술기상으로 경경골 접근법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전내측 통로 접근법을 이용한 접근법은 10시에서 10시 반 또는 1시 반에서 2시의 등척점에 굴착하기가 용이하였고 100도의 굴곡으로 굴착하기 때문에 대퇴과간 절흔의 시야확보가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굴착시 후방피질골의 침습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고 골터널과 이식인대 길이의 불일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방사선학적으로 후자의 경우 전자에 비해 이식 인대골-간섭나사 각도의 감소(P<0.05)를 나타내었으나 대퇴터널과 경골터널이 이루는 각은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대퇴터널은 그 등척점이 우측의 경우 10시에서 10시 반, 좌측의 경우 1시 반에서 2시로 변화함에 따라 경경골 접근법보다 전내측 통로를 이용한 대퇴터널의 굴착방법이 유용할것으로 사료되며 대퇴터널 이식인대의 마모에 대해서는 술후 장기적인 추시관찰 및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 development and advances in arthroscopic surgical technique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have led to the ideal location for the etric point from 10 o'clock (in right knee) and 13:30 (in left knee) to 10:30 (in right knee) and 14 o'clock (in left knee) in the frontal pla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operative methods and the radiologic results of femoral tunnels made through the tibial tunnel(trans-tibial approach) and the anteromedial portal. Material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May 2004, one-hundred reconstructio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were performed. Group I (femoral tunnel through tibial tunnel) was composed of 50 cases and group ll (femoral tunnel through anteromedial portal) was consisted of 50 cas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adiographic results of femoral tunnels made through the tibial tunnel and the anteromedial portal and operative methods. Results: In operative methods at Group II, femoral tunnel was made more easily at isometric point than Group I, a good visual field was achived because 100$^{\circ}$ flxion of knee, they can be reduced risk of posterior cortical breakage and tunnel-graft mismatching and decreased divergence of femoral interference screw in radiology (P<0.05). The angle between femoral tunnel and longitudinal axis of ACL wae increased at Group ll. Conclusion: A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was more useful in ACL reconstruction for femoral tunnel toward 10 o'clock to10:30(in right) or 1:30 to 2 o'clock(in lef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