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학

Search Result 20,263,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타이완(臺灣)의 지역학 연구현황과 과제

  • Sin, Jin-Sik
    • 중국학논총
    • /
    • no.61
    • /
    • pp.279-299
    • /
    • 2019
  • 本论文是首次以臺灣地域学研究为主题策劃进行的研究. 其研究不仅在韩国, 在近日掀起地域学研究热潮的中国也未曾进行过. 韩国各地方政府與大学属下的各地区地域学研究所, 正为地区发展而进行着廣範的研究, 竝举办與其他地区研究所间的交流活动. 而如今对于可充分参考的国外事例却无人问津. 臺灣的地域学研究现状與活动领域, 定会为韩国地域学的发展指明方向. 本论文在此问题意识下, 以介绍臺灣地域学的研究狀況于活动领域为目的而撰写完成. 臺灣的'地域学'以行政区为基本范畴, 是以综合各地区对历史, 人文, 社会等领域探讨的问题, 将其开拓发展为目标的学问. 其主要地区范围为县與市. 通过扩散式收集有关臺灣地方行政府與地域学研究所的相关资料, 本论文策劃对其进行综合性, 系统化的归纳整理. 以政府, 大学, 地方专科大学, 人民团体的劃分单位为次序, 本文涉览了臺灣地域学的发展过程與现状. 综上所述, 本文包括臺灣主要行政单位----省, 市, 整体调查了臺灣地域学的研究推进过程與现状, 竝以此为基础, 预测未来地域学研究单位的探讨方向, 同时对此进行综合评价.

Photochemical Modeling for the Ozone Episode on Summer in Metropolitan Area (하계 광화학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고농도 오존 사례 모사)

  • 이종범;장명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43-144
    • /
    • 2003
  • 최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은 물론 그 지역의 풍하지역에서 조차도 오존오염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보다 정확한 원인 규명 및 그에 따른 대책 수립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광화학모델링은 오존오염의 원인 규명 및 대책수립을 위해 정확도 향상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학모델인 MODELS-3/CMAQ(1999)을 적용하여 수도권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2002년 하계 오존 고농도 현상을 모사하였다. (중략)

  • PDF

Research Trends Analysis on the Mediterranean Area Studies using Co-appearance Keywords (동시 출현 키워드를 활용한 지중해지역 연구 동향 분석)

  • Lee, Dong-Yul;Kang, Ji-Hoon;Moon, Sang-H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5
    • /
    • pp.409-419
    • /
    • 2016
  • In general, Area studies have very flexible field of research,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oceed all field of research at the same time. Due to this, researches on Area studies have been changed the field of research 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age. So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esearch trends for performing Area studies. Also, interests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 of Area studies are increasing consta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research trends of Mediterranean Area studies in Korea by using co-appearance keywords. To do this, we first analyze article types and extract co-appearance keywords on articles of 『Journal of Mediterranean Area Studie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journal of Mediterranean region in Korea. In details, trends analysis of Mediterranean Area studies would be performed by using cp-keywords of article and visualizing network graph forms.

지리학에 있어서 기본문제

  • 고야사남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5
    • /
    • pp.70-74
    • /
    • 1982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지리학과 지지학 2. 지지에 있어서 지역구분의 문제 3. 지역구분론에 있어서 결절지역의 원리 4. 일본열도의 지역구조와 지역구분

  • PDF

Comparison between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t Gangwon Province (강원도에서의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비교)

  • Seo, Dong Il;Kim, Sang Ug;Jeon, Young Il;Han, Jae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5-205
    • /
    • 2023
  • 지역 빈도 분석과 점 빈도 분석은 하천 기본계획 및 수공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재현기간 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점 빈도 분석은 자료의 수가 부족하여 높은 재현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2019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역빈도분석 방법은 이러한 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동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K-means등의 군집분석과 L-moment 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두 방법 간의 정확성은 비교가 어려우나 서로 간의 장점, 단점과 결과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간지역이 많은 강원도와 같은 지역에 대한 확률강우량 산정의 적절한 방법을 판단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 빈도 분석은 강원도에 위치한 48개 관측소의 강우 자료 수집 후 고도, 위치, 지속시간 별 강우량을 변수로 지정하고 K-means 분석을 통해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질성 척도는 관측 자료와 500번의 모의 수행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후 분석된 군집이 동질한 경우 확률분포형에 적합시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점 빈도 분석은 지역 빈도 분석에서 결정된 군집에서의 최대 강우량과 최소 강우량 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따른 차이의 발생원인 및 특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PDF

2003년 여름 동안 서울 지역에서의 오존의 광화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Son, J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195
    • /
    • 2005
  • 광화학측정이 이루어진 기간 중 일사량이 강한 날에 관측 오존의 농도와 광화학 모델의 광화학 정류상태로 추정된 오존의 농도는 아주 밀접한 근접성을 보였다. 광정류 상태로부터의 이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측정 지역 근처에서의 지역적 NO$_{2}$ 생성원의 존재, 지역적 NO 또는 오존의 소멸, 비 정류상태 조건, 또는 측정의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존의 생성 속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화학반응은 NO와 HO$_{2}$의 화학반응으로 나타났다.

  • PDF

지리지(地理志)를 활용한 한의학 정보의 발굴

  • Park, Sang-young;Ahn, Sang-woo;Kang, Yeon-seok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22 no.2
    • /
    • pp.111-116
    • /
    • 2009
  • 우리나라의 지리지는 지리적 정보 이외에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기존 계발된 한의학 정보들은 자료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 중앙정부와 서울지역, 그리고 유력 인물 중심의 정보들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리지를 통해 발굴해내는 한의학 정보들은 지역 중심의 한의학 정보가 된다. 이러한 지리지 속의 한의학정보들을 발굴하면 다양한 의학정보를 지역사회에 제공할 수 있다.

  • PD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rainfall observation data in Gangwon Province (강원도 강우관측 자료를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 Young Il Jeon;Sang Ug Kim;Dong Il Seo;Jae Wook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1-21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하고 있는 홍수량 산정 지침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국대상의 강우관소에 대한 확률강우량과 강원지역에 위치한 강우관측소만을 대상으로 산정한 확률강우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강원도 지역의 48개 지점의 지속기간별 강우자료를 수집한 후, K-means 기법을 이용하여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강원도 대부분이 산악지형임을 고려해 산악효과를 야기하는 지형인자와 강우자료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한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과 산악효과를 야기하는 지형인자로 선정한 고도 이외에 위도, 경도를 각각 추가인자로 고려해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위 지형인자와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동질한 특성을 가지는 군집을 구성하였으며, 위도와 경도를 인자로 추가하면 더욱 강한 상관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군집분석결과를 통해 모수를 추정하고 적절한 분포를 선택하였으며, 이상치검정과 적합도 검정을 통해 최종 분포를 결정하였다. 고도와 위도, 경도를 모두 고려해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결과 강원도의 실제 강우특성과 마찬가지로 고도의 높낮이에 따라 강우형태를 전국단위 지역빈도분석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홍수량 산정 지침의 확률강우량과 강원지역에 위치한 강우관측소만을 대상으로 한 지역빈도분석의 차이의 발생원인과 강원지역에서의 특이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