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Enlargement toward Central and Eastern Europe, Loc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Changing of Economic Space

EU의 중.동부유럽으로의 확대와 투자입지 및 경제공간의 변화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As EU's enlargement toward Central and Eastern countries, it is expected to change of the economic activity space of EU.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of economic activity space of EU with a locational analysi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Central and Eastern countries. The foreign enterprises, particularly EU's firms are increasing the direct investment in the Central and Eastern countries from the middle 1990's for a raising of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and a prior occupation of the potential market.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as a tendency to concentrate in Poland, Hungary, Czech and Slovakia, which has relatively a large market, a cheap and plentiful labor, a stable political system and a positive inviting polic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shows a tendency to locate generally in a big city, which has a advantageous production factors by a well-developed infrastructure and a regional industrial organization, a skilled labors, a market, etc., and in a border area between East and West Europe because of a cheap and plentiful labor, a similar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low cost of transportation. In conclusion, as an integration of the Central and Eastern countries into EU, the capital territories of Hungary, Czech and Poland, and the border area between East and West Europe is becoming a new economic activity space of EU with a loc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Baltic zone is also expect to become a new economic activity space according to the augmentation of exchanges and direct investment inter near countries.

최근 EU의 중 동부유럽으로의 확대로 EU의 경제활동 공간구조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EU의 중 동부유럽 확대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경제활동 공간변화를 외국인직접투자의 투자입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 동부유럽 국가의 외국인직접투자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이 지역 국가들의 EU 가입이 구체화되면서 잠재력을 지닌 시장을 선점하고,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EU 기업들에 의해 크게 확대되었다. 외국인직접 투자는 넓은 시장과 저렴한 노동력, 안정적인 정치구조, 적극적인 외국자본 유치노력을 보인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에 집중되고 있다. 그리고 투자지역으로는 발달된 하부구조와 지역산업조직, 숙력된 노동력, 시장 등 유리한 생산요인을 지닌 대도시와 값싼 양질의 노동력과 유사한 문화적 환경 그리고 저렴한 수송비의 이점을 지닌 동 서부 유럽의 인접지역이 선호되고 있다. 다시 말해, 중 동부유럽국가의 EU 통합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이 많은 헝가리, 체코, 폴란드의 수도와 그 주변지역 그리고 동 서부유럽의 인접지역이 EU의 새로운 경제활동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발틱 공간은 인접국가간 교역 및 직접투자의 확대로 발달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