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stimation of Carbon Embodied in the Export Goods of Korea Using a Hybrid Input-output Approach

우리나라 수출상품에 체화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

  • 최한주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제무역학부) ;
  • 이기훈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제무역학부)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We estimate carbon embodied in the export goods of Korea. A commodity-by-industry IO model ($CO_2$ hybrid IO model) is constructed for the estimation. In the model, all monetary units of energy commodities are converted to physical unit, carbon tons. Results show that total $CO_2$ embodied in the exports of non-energy goods of Korea equals 51.18 million carbon ton or 44% of total $CO_2$ emissions in Korea in 2000. Overall carbon intensity of export goods is estimated as 0.227 carbon ton per million Won. These findings suggest Korea's responsibility on global warming may be imputed to the countries who import and consume Korean goods.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user pay principle. It is also argued that if UNFCCC impose the burden of $CO_2$ mitigation on importing countries rather than exporting countries, we can prevent '$CO_2$ emission leakages' effectively.

환경($CO_2$) 혼합형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수출상품에 체화된 $CO_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혼합모형은 투입되는 모든 재화의 단위금액으로 하는 전통적인 투입산출모형에서 에너지 부문의 투입을 실물단위로 바꿔주는 것이다. 추정결과 2000년의 경우 225조 3,000억 원 어치 비에너지 상품 수출로 인한 $CO_2$ 배출량은 5,188만 탄소톤으로 우리나라 전체 $CO_2$ 배출량의 44%를 차지한다. 수출상품의 $CO_2$ 배출집약도는 0.227탄소톤/백만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협약에서는 $CO_2$ 배출의 책임을 생산국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온실가스의 배출 책임이 상품 수입국에서 상품 수출국으로 전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많은 나라들이 탄소집약적 상품 생산을 기피하고 수입에 의존하려 하게 하는 '탄소누출' 현상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은 상품 생산의 수출국보다는 소비국에도 $CO_2$ 배출의 책임을 묻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 책임원칙과 오염자부담원칙에도 부합하는 것이며, 이 원칙이 적용되면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의 실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