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ation of Air Quality in the Metropolitan Seoul

3중양분선택·개방형 CVM을 이용한 수도권 대기질의 편익가치

  • 이해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BK21)) ;
  • 정현식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
  • 김태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valuate air quality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riple-bound dichotomous choice (TBDC)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supplemented by open-ended (OE) questionnaires. In the OE questionnaires, some respondents would state their willingness to pay (WTP) outside the limits of the WTP interval. It implies that WTP estimates based on the customary dichotomous choice (DC) questionnaires can be biased. We argue that the TBDC-CVM refined with OE questions is more efficient, because the latter helps purge the former of corrupted data that may have been collected by the TBDC interview process.

본 연구는 한국의 수도권 대기질 개선의 편익가치를 CV 방식을 통해 추정한 것이다. 분석에 사용한 질문 형식은 3중양분선택 개방형 질문이다. 결과에 의하면, 최종 개방형 질문에서 표출한 WTP가 양분선택 과정에서 선택한 WTP 구간을 이탈한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는 양분선택형 질문형식은 응답자의 잠재적 WT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편의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3중양분선택 개방형 질문 형식은 응답자가 양분 선택형 질문에 응답하는 과정의 학습 효과를 거쳐 개방형 질문에서 잠재적 WTP를 표출함으로써 개방형 질문의 응답률 저하라는 단점과 양분선택형에서 발생하는 편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수도권 대기질 개선의 편익가치, 즉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의 대기질 상태를 도달하기 위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은 응답자 가구 당 월평균 최소 1만 6,402원에서 최고 1만 9,494원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