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sults of 2002 and 2003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결과 분석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s consisted of a written test, an interview, a demonstration of teaching practices, one's academic record etc. The primary written test(full credit of 100) consists of multiple-choice test of general pedagogy(30%) and constructed response test of science(70%). The science test consists of science education($20{\sim}30%$) and science content($70{\sim}80%$). Five science exams were implemented for appointing general science,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eachers in 2002 and 2003. The credits alloted to science education domain decreased from $25.7{\sim}30%$ in 2002 to $24.3{\sim}25.7%$ in 2003.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similar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content domain in 2002, bu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in science education domain(70.2%) was 29.8% higher than that of science content domain in 2003. Earth science exam almost reached the target mean score of 60 but the other four exams showed the mean scores ranging from 45.0 to 52.7 in 2002 and from 40.1 to 49.6 in 2003. The percentage of high difficulty items(p<40%) was 41.2% in physics and chemistry in 2002, 50% in physics and chemistry, and 45% in biology in 2003. Seventy eight percent of the items showed fairly high discrimination index(r>.30). In addition, the reliabilities of 5 tests were from .79 to .88.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credits alloted to science education domain should be increased up to 30%, and exam difficulties should be lowered to a proper level by making science content items easier.

본 연구에서는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 시험에서 지역별 및 전공별 선발 인원과 경쟁률, 그리고 공통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시험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배점 비율,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시험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경기도가 가장 많은 과학 교사를 선발하며 다음으로 인천, 경남, 경북, 대구에서 많은 교사를 선발하였다. 과목별로는 공통과학 교사를 가장 많이 선발하였으며 다음으로 생물, 화학 교사를 많이 선발하였다. 시험의 평균 경쟁률은 2002학년도에는 5.5 : 1, 2003학년도에는 4.8 : 1이었다. 공통과학 시험은 출신 전공에 따른 편파성을 없애기 위해 교과내용학은 과학 4분야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에 각각 12점씩 동등하게 배점하였고 난이도를 유사하게 조정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2002학년도에서는 지구과학 분야가 정답률 51.7%로 가장 높고 물리 분야가 38.4%로 가장 낮았으며, 2003학년도에는 화학분야가 50.6%로 가장 높고 물리 분야가 34.1%로 가장 낮았다. 한편, 과학 분야 5과목의 시험에서 교과교육학의 배점은 2002학년도 $18{\sim}21$점에서 2003학년도에는 $17{\sim}18$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정답률은 2002학년도에는 교과교육학이 평균 51.6%이고 교과내용학이 50.2%로 유사하였으나 2003학년도에는 교과교육학이 70.2%로 교과내용학보다 29.8%나 높았다. 과목별 평균점수는 지구과학만 목표치(100점 만점에 60점)와 유사하였고, 나머지 4과목은 2002학년도에 $45.0{\sim}52.7$점, 2003학년도에 $40.1{\sim}49.6$점이었으며, 정답률 40% 미만의 문항이 2002학년도에 물리와 화학 모두 41.2%나 되었고, 2003학년도에는 물리와 화학 50%, 생물이 45%나 되어 매우 어려웠다는 것을 나타낸다. 문항 변별도는 .30이상인 문항이 약 78%이상으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의 신뢰도는 $0.79{\sim}0.88$이었다. 따라서 사범대학에서의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유능한 교사 선발을 위해 교과교육학 문항의 배점 비율을 30%로 상향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과내용학 문항을 쉽게 출제하여 전반적으로 시험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00). 교원자격검정업무
  2. 교육인적자원부(2003). 우수 교사 선발을 위한 교원임용시험제도 개선계획(안)
  3. 김영식, 한종하, 강현삼, 김영길, 김제완, 소현수, 박승안, 박승재(1987). 과학기술교육 진흥 방안. 교육개혁위원회
  4. 김창식(1993). 고사 상태의 과학교육. '93 과학교육의 해 과학교육 대토론회 자료집 -국가 발천과 과학교육. 45-62
  5. 김창식(1995). 교육개혁과 과학교육의 발전 방향. 제28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세미나 및 논문발표회 자료집-천무성 신장을 위한 과학교사 연수의 혁신 방안, 81-96
  6. 박윤배(1992). 현직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 교육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8
  7. 성일제, 김양분, 백순근, 채선희(1996). 신규교원 공개 전형 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6-20
  8. 이화국(1992).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교과교육 평가 요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1-16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2). 2003학년도 중등교사 신규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