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수준에서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3개 시도의 140개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7개 학교를 방문하여 18시간의 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후 심층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초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각 구성요소별로(즉,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1)운영(재구성) 실태와 (2)재구성 내용에 반영된 학습자 중심 및 다양화 특성화 측면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려운 이유 및 개선점을 점검하였다.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은 과학과 수업목표는 물론 내용, 방법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며, 재구성 시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내용 제시 순서를 바꾸거나 일부 단원이나 주제를 첨삭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implemented at science classrooms. Data from surveys with 140 elementary schools, 18 science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 Based on the data, I explored (1)how science curriculum is operated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school science, and (2)how student-centeredness and localization themes are reflected on the reconstructed school scienc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teacher level was minimal. And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followed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the science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 regardless of their own local situations. For most teachers,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meant reordering the sequences of the contents, and adding or deleting some units or topics. I also examined why elementary teachers have difficulty in reconstructing science curriculum at the classroom level. The necessity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t the teacher level is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