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록물분류기준표 특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Special Quality of the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 박유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분류기술전문요원)
  • Park, Yoo-Jin (Management of Archives & Records Dept., Korea Democracy Foundation)
  • 발행 : 2004.03.31

초록

본 연구는 기록물분류기준표에 대한 개괄적 정리를 통하여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기록물분류기준표에 대한 접근점을 마련하는데 주안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의의에서부터 구성요소가 가지는 의미와 원리, 그리고 그 운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향후 기록물분류기준표가 기록물관리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록물분류기준표는 기록물을 제어하고 처리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기록물관리체계의 발전과 안정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록물분류기준표를 통하여 기록물의 역사적 가치평가가 가능해져 기록물을 사료적 관점에서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외에도 기록물분류기준표는 조직 및 기능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기록물에 대한 외적 정보를 일차적으로 보존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또한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a base for approaching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which may be felt unfamiliar, through the overview of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the significance and principle of their elements, and their operation. In addition, it presented tasks to perform for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to play a central role of record manage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showed that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authorize people to control and process records,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the stability of record disposition system in Korea. What is more, it proved that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enable the assessment of the historical values of records, so it is possible to maintain record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records. Besides, record disposition schedul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contain information on organizations and their functions, based on which we can preserve and manage extrinsic information about record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건흥. 2001. 자료관 현광과 발전전략. 기록보존. 14:49-67.
  2. 김태웅. 1999.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정과 전망. 기록보존. 12 : 159-173.
  3. 김형국. 2001. 자료관 업무표준안 검토. 기록보존. 14 : 69-84.
  4. 남희숙, 번역. 2002. 기록물 평가시스템. 서울 : 진리탐구.
  5. 박유진, 2003. 기록물분류기준표 운영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의 조직 및 기능 변동에 따른 운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6. 박유진. 2003.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운영과 과제. 기록학연구. (한국기록학회), 8 : 57-95.
  7. 이소연 외. 2002. ISAD(G)를 적용한 한국기록물기술규칙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연구보고서.
  8. 이승억. 2001.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정과 의의. 발표문, 공공기관 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록물평가분류 워크샵. 12월 14일. [대전 : 정부기록보존소].
  9. 이승억. 2001. 한국 공공분야 기록보유 (Recordkeeping)체계 전망-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도적 의의와 특성-. 기록학연구.(한국기록학회), 4 : 31-62.
  10. 이영남. 2001.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운영과 활용방안. 발표문, 공공기관 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록물평가 분류워크샵, 12월 14일.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1. 이원규. 2002.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서울:진리탐구.
  12. 이원영, 번역. 2002. 현대기록학개론, 서울:진리탐구.
  13. 정부기록보존소. 2002a. 기록물관리실무자 과정 교육교재.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4. 정부기록보존소. 2002b. 기록물분류기준표 3차조사서 작성지침.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5. 정부기록보존소. 2003. 기록물분류기준표 제정.운영 매뉴얼.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6. 정부기록보존소. 1999. ‘기록물분류기준표’ 제정을 위한 단위업무분류조사서 작성지침.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7. 정부기록보존소. 2002c. 기록보존업무편람.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8. 정부기록보존소. 1998. 외국의 기록물보존 관리일정표 제정제도에 관한 연구. 대전:정부기록보존소
  19. 정부기록보존소. 2003. 행정기관의 자료관시스템 규격. 대전:정부기록보존소.
  20. 조경구, 번역. 2002. 아카이브와 매뉴스크 립의 정리와 기술. 서울:진리탐구.
  21. 최정태. 2001. 기록학개론. 서울:아세아문화사.
  22. 한명근 외. 2002. 기록관리법에 대한 기록 학적 분석 연구(한국국가기록연구원). 연구보고서.
  23. NARA 홈페이지. ‘Disposition of Federal Records: A Records Management Handbook’
  24. Schellenberg, T.R. 1965. The Management of Archives.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