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defines appraisal items and weights of the item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appraisal instrument that objectively measures employee's effectiveness of knowledge contribution. Deductive research i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ppraisal items and delphi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weights of the items. In the deductive research the term, "effectiveness of knowledge contribution" is first defined. Then knowledge contribution activities are classified as "dimension of explicit contribution" and " dimension of tacit contribu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ach dimension is divided again by components. The dimension of explicit contribution is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knowledge, and the dimension of tacit contribution is divid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tacitness of knowledge contribution. The total components of dimensions are 7. The dimension of explicit contribution is composed of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factual knowledge is made up of "procedural knowledge outcome" and "other factual knowledge". The procedural knowledge is made up of "procedural knowledge manual" and "lessons-learned procedural knowledge". The dimension of tacit contribution is composed of "agency", "model" and "Q&A". The basic framework for measuring 7 components of knowledge contribution 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his paper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utcomes of employee's knowledge contribution activities are record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order to evaluate them objectively. The appraisal items are defined as follows: at the dimension of explicit contribution, in quantitative approach, "the upload number" or "performance number", and in qualitative approach, other employee's "referred number" and other employee's "content and format satisfaction evaluation"; at the dimension of tacit contribution, "demanded number of performance" After the development of appraisal items by the deductive method, delphi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weights of the items with the total degree of knowledge contribution, 100.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the standard marks of the appraisal items. It is because when companies apply this appraisal instrument, they could use their own standard appraisal marks of the appraisal items considering their present situations and companies' goals. Through this almost desert-like research about the appraisal instrument of employee's knowledge contribution effectiveness, it proposes a cornerstone in the research field of appraisal instrument, which provides a standard for employee's knowledge contribution appraisal, and appraisal items that make organizational knowledge to be managed more systemically in business sites.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지식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항목 및 각 항목의 가중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평가항목의 개발을 위해 연역적 방법과 가중치 개발을 위해 델파이 기법이 각각 사용되었다. 평가항목의 도출을 위해 우선 '지식기여'에 대하여 정의를 내리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도출된 정의를 기초로, 지식기여의 형태는 크게 형식적 기여와 암묵적 기여로 구분되었다. 형식적 기여는 기여하는 지식의 내용에 따라 사실지와 방법지로 구분되었다. 사실지는 구체적으로 방법지 산출물과 기타 사실지로, 방법지는 방법지 매뉴얼과 체득된 방법지로 구분되었다. 암묵적 기여는 암묵성 정도에 따라 대리, 시범, 질의응답(Q&A) 세가지로 구분되었다. 7가지 지식기여 요소에 대한 평가는 양적 측면과질적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지식기여의 활동결과는 지식관리시스템(KMS)에 저장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지식관리시스템 상에서의 형식적 기여의 경우 양적인 평가에서는 게시건수 혹은 수행건수로, 질적인 평가에서의 평가는 조회건수나 만족도 평가, 요청 받은 건수 등으로 측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역적 방법에 의해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들을 개발하고 각 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분석을 위해 전체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각 항목의 가중치를 정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합하는 델파이기법이 사용되었다. 델파이 결과, 형식적 기여 차원과 암묵적 기여 차원에 동일한 가중치가 부여되었으며, 형식적 기여차원에서는 사실지 보다는 방법지에 가중치가 좀더 부여되었고, 암묵지 기여 차원에서는 질의응답 - 시범 - 대리의 순으로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이를 통해 '타인의 지식 획득과 활용에 도움을 주는 지식기여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지식 제공자와 지식 수여자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이 높아야 하며, 제공자의 지식이 타인에게 빠르게 그리고 잘 전달될 수록 지식기여도가 높다'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식기여 활동에 대한 평가 지표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하겠으나, 업종별이나 산업별로 세분화된 평가 지표 마련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항후 지식 경영을 도입하여 시행한 연수에 비추어서 평가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를 할 수 있다면 보다 정교한 평가도구의 제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